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지하철 청소로 모은 12억…이웃에 다 주고 떠난 홍계향 할머니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성남시 '행복한 유산 기부' 1호…신상진 시장, 빈소 찾아 추모

뉴스1

평생 모은 돈 12억원을 기부하고 지난 19일 별세한 홍계향 할머니의 생전 모습.(성남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성남=뉴스1) 송용환 기자 = 신상진 경기 성남시장이 노점운영과 지하철 청소를 하면서 모은 돈 12억 원을 기부한 홍계향 씨(90) 빈소가 차려진 성남시의료원을 21일 오후 찾아 고인을 추모했다.

신 시장은 “지난 3월 할머니를 방문해 빠른 회복을 기원하고, 병원에 계시는 동안 불편함 없이 지원해 드리고자 3개 기관이 힘을 모았었다”며 “성남시가 어르신 마지막 가시는 길을 끝까지 배웅하겠다. 또한 고인의 바람대로 남기신 유산은 지역 내 저소득층을 위해 소중히 쓰일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홍 할머니가 병환으로 지난 19일 별세해 22일 성남시의료원에서 치러진 장례의 모든 과정을 함께 했다. 향년 90세다.

홍 할머니는 10년 전인 2014년 6월 자신이 사는 중원구 성남동 소재 4층 규모 주택(현재 시세 12억 원 상당)을 기부했다. 사후에 성남지역 저소득 계층을 위해 쓰고 싶다는 이유에서였다.

시는 당시 유산기부 공증 절차를 진행했다. 홍 할머니는 ‘행복한 유산기부 성남시 1호’로 경기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이름을 올렸다.

홍 할머니가 기부한 유산은 노점상 운영, 지하철 청소, 공장 노동자로 일하며 반평생이 넘도록 어렵게 모은 재산이어서 지역사회에 잔잔한 감동을 전했다.

4층짜리 주택을 신축(2002년)할 정도로 열심히 살아왔지만 홍 할머니의 삶은 순탄치 않았다.

1934년 부산에서 태어난 홍 할머니는 21세 되던 해에 결혼한 뒤 서울로 상경해 김·미역 노점상, 폐지 줍기를 전전하며 타향살이했다.

어렵게 생계를 이어오다가 성남에 정착한 건 49세 때인 1983년도다. 지하철 청소, 액자공장 등에서 닥치는 대로 일을 해 돈을 벌었다. 그렇게 모은 돈으로 마련한 것이 2002년부터 별세 전까지 살았던 4층 주택이다.

내 집을 마련해 사는 동안 슬하에 하나 있던 딸이 2010년 병으로 죽고, 치매를 앓던 남편마저 2013년 12월 별세했다.

유산을 기부할 당시 홍 할머니는 “성남은 나에게 제2의 고향”이라고 말했다.

이후에도 홍 할머니는 노인 일자리 사업과 자원봉사 활동을 부지런히 해오다 지난해 9월 낙상사고로 왼쪽 다리뼈가 골절돼 수술 후 재활치료를 받아왔다. 올해 2월엔 오른쪽 다리뼈마저 골절돼 숨을 거두기 직전까지 병원에서 생활했다.

병원에 있었던 9개월 동안 홍 할머니를 돕기 위해 성남시와 경기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성남동복지회관 등 3개 기관의 지원 체제가 가동됐다.

성남시는 치료 결정, 공공요금·의료비 납부 등 일상 관리를, 경기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세입자 관리 등 재산 관리를, 성남동복지회관은 주기적인 병원 방문으로 할머니의 안부 확인 등 신상관리를 했다.

장례가 치러진 날까지도 3개 기관은 유족이 없는 할머니의 상주가 돼 조문객 맞이, 입관, 운구, 화장, 안치에 이르기까지 어르신의 마지막 가시는 길을 함께 했다.

할머니가 남긴 12억 원 상당의 유산은 고인의 바람대로 지역 내 저소득층을 위해 쓰인다.

뉴스1

평생 모은 돈 12억원을 기부하고 지난 19일 별세한 홍계향 할머니의 생전 모습.(성남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yh@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