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KIEP "세계 경제, 美 완만 회복세 속 올해 3.0% 성장 전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KIEP, '2024 세계경제 전망' 발표…올해 성장률 종전보다 0.2%p 상향 조정

"美 강한 회복세 완만해지고, 다른 선진국은 비교적 부진할 듯"

"신흥국은 완만한 경기 수준 보이는 가운데 인도 강한 성장세 예상"

내년에는 미국 하향세와 유로 지역 회복, 인도 선전 속 3.2% 성장 예상돼

노컷뉴스

KIEP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이 정책 불확실성 속에 지역별로 차별화된 성장을 보이면서 지난해보다 0.2%p 낮은 3.0%를 기록할 것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전망이 발표됐다.

KIEP(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21일 '2024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를 내놓으며 세계경제 성장률을 지난해 11월 전망치보다 0.2%p 상향 조정한 3.0%를, 내년에는 3.2%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KIEP는 올해 세계경제를 '정책의 초불확실성, 차별화된 성장'으로 요약하고,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과 공급 충격 재발, △고금리 장기화 속 국가간 통화정책 차별화, △글로벌 선거의 해 이후 사회·정치 양극화 및 자국 우선주의 심화 등을 위험요인으로 지목했다.

KIEP 현재 이어지고 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이른 시일 안에 끝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렵고, 이러한 지정학적 위기가 악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유가·원자재 가격 파동이 다시 일어나면 세계 경제에 인플레이션이 다시 발생해 경기 침체를 겪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비록 최근 경기 둔화세를 보이지만 여전히 미국이 세계 경기 흐름을 주도하는 가운데, 나머지 주요국의 회복세는 미약한 상황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남으면 기준금리 인하가 더 미뤄질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해 금리 격차로 경제적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올해 전 세계 60여 개국에서 선거가 열리면서 선거 결과에 따라 대중영합주의적 경제정책이 대거 도입되면 세계 경제에 충격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됐다.

이 가운데 선진국들은 미국의 강한 회복세가 완만해지고, 유럽과 일본도 상대적으로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KIEPP는 예상보다 강건한 소비지출, 민간투자 회복, 정부지출 등에 힘입어 올해 미국 경제 성장률을 종전 전망치보다 0.9%p나 상향 조정한 2.4%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미국정부의 보조금과 대출 보증에 따른 민간 투자가 확대되는 점은 향후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봤지만, 고금리 기조가 소비에 시차를 두고 영향을 주면서 점차 둔화세를 나타내고, 소비자 대출액이 빠르게 늘고 연체율이 상승하는 점도 미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내다봤다.

노컷뉴스

KIEP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유럽연합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독일 경제가 부진한데다 투자도 낮은 수준에 머물러 유로 지역은 이전 전망보다 0.4%p 하락한 0.7%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독일은 경제정책의 불확실성과 긴축재정, 수출 감소 등으로 0.0%의 저조한 성장률에 그칠 것으로 보였다. 다만 프랑스는 무역이 성장을 이끌면서 0.6%, 이탈리아는 부진한 정부지출 대신 투자와 무역이 성장을 도와 0.7%, 스페인은 관광업과 투자 회복으로 2.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영국은 정부지출 확대와 민간소비 개선으로 0.5% 성장을 기록할 전망이다.

일본의 경우 내수의 완만한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높은 성장을 견인했던 수출입 부문 기여도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돼 올해는 종전보다 0.1%p 하향 조정된 0.9% 성장이 예상됐다.

신흥국들의 경우 인도가 강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중국 및 여타 신흥국의 완만한 경기와 대조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중국 정부는 '5% 내외'의 경제성장률 목표를 세웠지만, KIEP는 시장의 낮은 기대와 지속적인 경제 리스크, 대외 불확실성 등을 고려할 때 4.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이는 중국 정부의 다양한 경제안정화 정책 추진에 따른 효과를 고려해 종전보다 0.3%p 상향조정한 결과다.

반면 인도는 정부 및 민간 투자 확대와 민간소비 회복으로 종전 전망치보다 0.6%p나 오른 6.8% 성장률을 올해 기록할 것으로 판단했다.

인프라와 주택 공급을 중심으로 정부와 민간 투자가 계속해서 확대될 예정이라는 점, 물가안정과 농업 부문 회복으로 농촌지역 소비가 정상화됨에 따라 높은 수준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점과 함께 모디 정부의 투자유치 노력도 높게 평가됐다.

아세안 5개국은 대외수요 회복, 관광 증가, 정부지출 확대 또는 정상화,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 등의 긍정적 요인이 주목받으며 종전과 마찬가지로 4.5% 성장이 예상됐다.

인도네시아는 오는 10월 취임 예정인 새 정부가 지출을 확대할 것이라는 점, 말레이시아는 수출 및 관광 개선세, 필리핀은 인프라와 관광 개선되고 있는 점, 태국은 정부지출 정상화 및 관광 호조세가 지속되는 점, 베트남은 제조업 수출과 해외직접투자 유입 등으로 각각 성장 요인을 지목받았다.

러시아는 전시 상황 장기화에 따른 뉴노멀(New Normal) 사태에 적응한 점이 고려돼 종전 전망치보다 2.2%p 상향 조정된, 전년과 유사한 3.2%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평가됐다.

KIEP는 장기화된 전쟁으로 급증한 군비지출과 떨어진 실업률, 실질임금 상승 등으로 오히려 소비 여력이 확대되면서 내수가 주도하는 성장이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도, 노동시장 과열로 임금 상승이 경기 둔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브라질에 대해서는 고금리와 저조한 농산물 작황으로 성장세가 둔화되나 재정지출 확대, 수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종전보다 0.4%p 상향 조정된 1.8% 성장률을 예상했다.

한편 KIEP는 내년 세계 경제에 대해서는 미국의 하향세와 유로 지역의 회복, 인도의 선전 등을 꼽으며 3.2% 성장을 예상했다.

미국은 소비 둔화, 정부의 공급망 법안 내 지출 여력 소진 등에 따라 1.7% 성장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집권할 경우 예상되는 정책 방향 전환과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우려됐다.

유로 지역과 영국은 올해 부진에 비해 무역과 투자를 중심으로 개선세를 보이며 각각 1.6%와 1.5%의 성장률이 기대됐다.

또 인도는 정부와 민간 소비, 투자 확대가 지속되며 6.5% 성장이 전망됐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