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서울 모든 지하차도 전기설비 지상으로…침수사고 막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초구 구룡 지하차도 배전반 이달 말 지상 이전 완료

지표면 인근 배전반 위치 장기적으로 높여나갈 계획

뉴스1

지난해 7월 '오송 참사' 직후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내에서 충북경찰청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배수 펌프가 작동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 News1 신웅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서울시가 5월까지 지하에 위치한 모든 지하차도 배전반을 지상으로 옮긴다. 지난해 오송 지하차도 참사 때 배전반이 침수돼 배수펌프 작동이 멈춘 것을 계기로 저지대 지하차도 배전시설이 재난안전 위험 요인으로 지적돼왔다.

20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이달 말까지 서초구 구룡 지하차도의 배전반을 지상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이전이 완료되면 1m 이상 지하에 위치해 침수 위험이 높은 모든 시내 지하차도 배전시설이 지상으로 옮겨진다.

서울시는 2022년 시작한 지상화 사업을 지난해 오송 참사를 계기로 본격화했다. 2022년 3곳, 지난해 15곳, 올해 구룡 지하차도 1곳 총 19곳의 침수 위험 배전반을 지상화했다.

지난해 14명이 사망한 오송 참사 당시 4개의 배수펌프가 있었으나 배전반이 침수돼 배수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특히 참사가 발생한 궁평 지하차도 배전반은 지상에 있었음에도 급격히 밀려 들어온 물에 작동이 멈췄다. 이를 계기로 배전반 지상화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재난 예방을 위해서는 배전시설 지상화 작업이 필수적이다.

조원철 연세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배수펌프는 물에 잠겨도 작동하도록 설계가 돼 있지만 펌프를 운용하려면 배전시설에서 펌프까지 전기가 공급되어야 한다"며 "배전반 침수 즉시 배수 기능이 셧다운되기 때문에 배전시설은 지면으로부터 1.5~2m 높은 곳에 설치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장기적으로는 지하시설로 분류되지 않은 지표면 인근 배전반도 위치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오송 참사를 계기로 설치 필요성이 대두된 지하차도 '진입차단시설'의 경우 지난해 참사 이후 총 65곳에 설치했다. 내년 상반기까지 총 90곳에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진입차단시설이 아직 없는 지하차도에는 LED 전광판을 설치해 진입 금지 안내를 하고 호우주의보 때는 공무원들이 지하차도에 나가서 직접 통제를 한다"며 "여름이 다가온 만큼 만에 하나라도 사고가 없도록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alicemunr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