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총선백서 특위 위원장인 조정훈 의원은 "총선 패배 이후 쓰는 백서가 당을 분란하게 하고 혼란에 빠지게 해선 안 된다는 점은 동의한다"면서도 "총선 기간에 어떤 일이 왜 일어났는지에 대한 궁금증은 총선백서에서 다 해소하고 넘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직설법을 쓰나 은유법을 쓰나 읽는 사람은 해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총선백서로 인해 한 전 위원장 개인의 책임론이 불거지면 안 된다는 주장에 대한 반박으로 풀이된다.
이날 황 위원장은 총선백서 특위 전체회의에 참석해 "개인의 책임을 추궁하는 식으로 하지 마시고, 당대표가 사퇴한 것으로 정치적 책임을 봉합하자"고 제안했다.
앞서 특위는 총선 패인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진행하면서 한 전 위원장에 대한 문항을 포함시켰다. 일각에서는 한 전 위원장을 겨냥한 질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당내에서도 '한동훈 책임론'을 두고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회의에 참석한 김준호 전 서울 노원을 후보는 "(황 위원장이) 책임이 봉합됐다고 표현하신 건 동의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특위는 한 전 위원장을 비롯해 총선 당시 사무총장이었던 장동혁 의원과 면담을 하겠다고 밝혔다.
[신유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