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먹방'이 비만 초래? 사실이었다…'청소년 시청금지' 나온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한 유튜버가 '먹방'을 진행하고 있다. 기사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으로 기사 내용과 직접적 관련이 없음. 사진 유튜브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른바 '먹방'을 시청하는 것이 청소년의 비만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제학술지 '영양학 저널(Nutrition journal)'에 최근 게재된 내용에 따르면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박은철, 김진현 교수 연구팀은 먹방 시청과 비만 위험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한국청소년위험행태조사(2022년)에 참여한 국내 800여 개 학교의 중고교생 5만453명(남 2만5749명, 여 2만4704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체질량지수(BMI)를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의 네 가지 그룹으로 나눠 지난 12개월 동안 먹방 시청 빈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남학생의 63.9%, 여학생의 79.2%가 먹방을 시청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먹방을 시청하는 남학생은 저체중(6.9%)보다 과체중(11.2%)과 비만(16.7%)이 월등히 많았으며, 여학생은 저체중(9.5%), 비만(9.2%), 과체중(8.0%) 순으로 편차가 남학생만큼 크지 않았다.

또 연구팀은 매주 1차례 이상 먹방을 시청한 남학생의 경우 비만해질 위험이 먹방을 전혀 시청하지 않은 남학생과 비교해 22%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먹방 시청에 더해 ▶흡연 ▶음주 ▶잦은 패스트푸드 섭취 ▶가당 음료 섭취 등의 식습관을 보이는 남학생은 비만일 가능성이 더 높았다.

다만 같은 조건에서 여학생의 비만 위험도는 0.9%로, 남학생만큼의 큰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중앙일보

사진 셔터스톡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극적 식습관 따라하게 돼"



연구팀은 먹방 시청이 비만으로 이어지는 대표적인 메커니즘으로 '따라하기'를 꼽았다. 인플루언서의 먹방 영상을 보면서 ▶빨리 먹기 ▶많이 먹기 ▶간식 먹기 ▶야식 먹기 ▶자극적인 식습관 등을 따라 하고, 대신에 운동과 사회적 상호작용 등 다른 활동에 대한 참여는 줄어듦으로써 비만이 될 위험을 높인다는 것이다.

또한 연구팀은 먹방 시청이 신체의 생화학적 메커니즘에 영향을 미쳐 식욕을 촉진하고, 식욕을 자극하는 호르몬인 그렐린의 분비를 증가시켜 음식 섭취가 증가하게 된다고 짚었다.

연구 저자인 박은철 교수는 "먹방을 시청한 학생 중 38.6%가 자신의 식습관에 영향을 받았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며 "이번 연구에서도 주관적으로 먹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한 학생들은 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학생들과 비교해 비만이 될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청소년의 먹방 시청 시간 및 내용을 제한하거나, 먹방에 특화된 영양교육을 실시하는 등의 규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아이들에게 과식과 자극적인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건강에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림으로써 먹방, 술방 등의 시청과 나쁜 식습관 사이의 연관성을 차단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한편 의료계에선 먹방 시청을 '중독'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이해국 한국중독정신의학회 이사장(의정부성모병원 교수)은 "인기를 끌고 있는 먹방이나 술방을 보는 사람의 상당수는 그 자연스러움 때문에 모방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이들 방송은 자극적인 음식 섭취나 과식, 과음이 암묵적으로 즐거워질 수 있다는 잘못된 암시를 줌으로써 정신건강을 해치고 비만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중독의 관점에서 문제 행동에 개입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하수영 기자 ha.suyoung@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