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소형군집위성 1호와 로켓랩의 발사체인 '일렉트론'을 결합한 모습/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초소형군집위성 1호가 지상국과의 교신에 또 다시 성공하며 최종적인 '발사 성공'을 알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4일 오후 2시 13분, 3시 44분쯤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교신한 결과 양방향 교신이 정상적으로 이뤄져 위성 발사가 성공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KAIST(카이스트)는 지구 상공 약 500㎞ 지점에서 초소형군집위성 1호의 위성체 및 광학 탑재체의 성능을 1개월간 시험하고 관측 영상의 품질을 5개월 동안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점검이 마무리되는 11월부터 1호 위성은 본격적으로 지구관측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초소형군집위성 1호는 24일 오전 7시 32분(현지시간 오전 10시 32분)에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미국 발사체 기업 로켓랩 사의 발사체 '일렉트론'를 타고 발사됐다. 최초 예고 시간은 24일 오전 7시 8분 57초쯤(현지시간 오전 10시8분)이었지만 우주비행체와의 충돌 위험이 감지되며 6분 지연됐다. 이어 현장 전체 점검과 날씨 확인으로 또 한 번 발사가 보류됐다가 오전 7시 32분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발사 2분 27초 후 발사체 1단이 성공적으로 분리됐고, 9분 15초 뒤 발사체 2단까지 분리됐다. 발사 약 50분 만인 오전 8시 22분경 발사체와 최종 분리됐다. 로켓랩은 일렉트론의 킥 스테이지를 이용해 위성을 최종 궤도에 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초소형군집위성 1호는 지구를 두 바퀴가량 돈 뒤 오전 11시 57분쯤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있는 지상국과 교신했다. 과기정통부는 수신한 위성정보를 분석한 결과 "태양 전지판이 정상적으로 전개돼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하는 등 위성 상태가 전반적으로 양호하다"고 밝혔다.이어 오후 2시 13분 및 3시44분쯤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교신한 결과, 양방향 교신이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한편 이번 초소형 군집위성 1호는 국내 위성 기업인 쎄트렉아이, KAIST 인공위성연구소, 항우연의 산학연 협력으로 완성됐다. 과기정통부는 2027년까지 위성 총 11기를 발사해 군집 운영할 계획이다. 한반도와 주변 해역의 영상을 확보해 국가안보 및 재난·재해 대응에 신속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초소형 군집위성 1호 발사 성공은 개발·제작·발사 전과정에 걸쳐 산학연 역량이 결집된 결과"라며 "후속위성들도 차질없이 개발해 국내 우주기술 경쟁력을 보다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오준 국가정보원 3차장은 "국가안보의 범위가 우주공간까지 확장되고 있는 만큼, 이번 위성 개발을 계기로 국가 우주안보의 기반이 되는 핵심기술 역량을 제고하겠다"고 밝혔다.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