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홍 기자(=전북)(arty1357@naver.com)]
4월 10일에 치른 '22대 총선'의 전북 투표자는 102만2000명이었다. 4년 전인 21대 총선(103만4000명) 때보다 1만2000명 줄었다.
그럼에도 전북 투표율은 67.0%(21대)에서 67.4%(22대)로 되레 올랐다. 왜 그럴까? 이는 투표자 감소에 비해 유권자(선거인수) 감소폭이 훨씬 더 컸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중에 전북의 선거인수는 154만2500명(21대)에서 151만7700명(22대)으로 2만400명 이상 격감해 투표자 감소의 2배에 육박했다.
▲4월 10일 투표장에서 투표를 하기 위해 줄 서있는 유권자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투표자 수를 선거인 수로 나누는 '투표율' 산정에서 분모에 해당하는 '선거인 수'가 대폭 줄어들다보니 투표율이 저절로 올라간 셈이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정권심판론'을, 국민의힘은 '야권심판론'을 각각 주장하며 여야가 투표 독려에 총력전을 기울였지만 뜨거운 열기가 고스란히 투표로 이어졌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전북 정치권에서는 "투표한 유권자 중에서도 후보와 정당에 대해 만족하지 않지만 '어쩔 수 없이' 찍었다는 표심이 적잖았다는 점을 진중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실제로 익산참여연대가 4·10 총선 직후인 이달 12일부터 15일까지 나흘 동안 익산시민정책평가단 348명을 대상으로 '22대 국회의원 선거와 관련한 설문조사'에 나선 결과 "후보자를 보고 찍었다"는 응답자가 39.9%로 1위였고 "정당 보고 투표했다"는 답변도 39.6%를 차지했다.
반면에 "후보자와 정당에 만족하지 않지만 어쩔 수 없이 투표를 했다"는 답변도 15.8%를 기록해 관심을 끌었다. 특히 20대의 경우 "어쩔 수 없이 투표했다"는 응답 비율은 19.0%를 차지해 가장 높게 나왔다.
30대(17.3%)와 50대(16.4%) 등에서도 찍을 정당이나 후보가 없지만 어쩔 수 없이 투표에 참여했다는 비율이 평균을 상회했다.
▲전북선관위 전경 사진 ⓒ전북선관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예 "지지 후보와 정당이 없어 기권했다"고 답변한 2.9%의 비율까지 포함하면 어쩔 수 없이 투표했거나 기권한 전북의 유권자 비중은 대략 20%에 근접한다.
이상민 익산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유권자들은 최선이 아니면 차선을 고민하기 마련"이라며 "어쩔 수 없이 투표했다는 응답은 '정권심판론' 열기가 뜨거워 투표장에 갔거나 선택할 후보와 정당은 없지만 소중한 주권행사 차원에서 투표에 동참했다는 말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전북 선거구 10석을 싹쓸이한 더불어민주당의 입장에서 보면 '어쩔 수 없이 투표했다'는 15%는 다음 선거에서 언제든지 다른 쪽을 선택할 수 있다는 '준엄한 경고'에 해당한다"며 "당선인들이 높은 득표율에 취해 지역구에 무관심할 경우 언제든지 화살이 자신에게 돌아올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10명의 후보를 찍은 전북 유권자 81만8000표 중에서 비례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을 찍지 않고 이탈한 표가 44만7700표에 달하는 점도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민주당 후보를 지지하는 유권자의 절반 이상이 다른 비례정당, 특히 조국혁신당을 찍은 것은 정권 심판이라는 방향성에 동조한 표심이라는 분석이다.
홍석빈 우석대 교수(정책학 박사)는 "전북의 유권자들이 민주당 후보는 지지하되 비례는 다른 당을 선택한 점을 곱씹어봐야 한다"며 "선거 이후 유권자들 사이에 '만약 다른 당에서 경쟁력 있는 후보를 냈다면 어떠했을까'라는 가정이 떠도는 점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기홍 기자(=전북)(arty1357@naver.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