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국 정상회의 후속조치로 미국 워싱턴D.C.에서 첫 한미일 재무장관회의 열려
회의 후 공동선언문 채택…과잉공급 협력방안, 외환시장 우려 등 인식 공유
(서울=뉴스1) = G20재무장관회의 및 IMF/WB 춘계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을 방문 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현지시간) 미국 재무부에서 열린 '제1차 한.미.일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2024.4.18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역사상 처음으로 열린 한·미·일 재무장관회의에서도 외환시장의 급격한 변동성 문제가 의제로 올랐다.
심상치 않은 강(强)달러 여파로 외환시장 공동 구두개입에 나섰던 한국과 일본의 재무장관은 달러 강세 우려를 전달했다. 미국은 한·일의 심각한 우려(serious concerns)를 인지(acknowledging)한다는 내용의 공동선언문 작성에 동의했다.
반면 미국은 중국이 주도하는 배터리, 철강 등 핵심분야의 과잉공급 우려를 한·미·일 재무장관회의 주요 의제로 삼았다. 한·미·일은 핵심분야 과잉공급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조에 나선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상은 17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일 재무장관회의를 개최했다. 한·미·일 재무장관이 3자 회의에 나선 건 처음이다.
40여분 간 진행된 회의가 끝나고 3국은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이번 회의가 지난해 8월 미국 캠프 데이비드의 한·미·일 정상회의 후속조치라는 점에서 당시 논의된 과제들이 주로 공동선언문에 담겼다.
정상회의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외환시장의 변동성 문제는 새롭게 부상했다. 최근 미국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면서 글로벌 자금은 미국으로 쏠리고 있다. 달러가 강세를 보였고 아시아 등 신흥국의 화폐가치는 떨어졌다. 여기에 중동의 지정학적 위기가 커지며 안전자산인 달러의 가치는 더 올라갔다.
(서울=뉴스1) = G20재무장관회의 및 IMF/WB 춘계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을 방문 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현지시간) 미국 재무부에서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과 '제1차 한.미.일 재무장관 회의'를 갖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2024.4.18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3국은 공동선언문에 "우리는 기존 G20(주요 20개국)의 약속에 따라 외환시장 진전 상황에 대해 긴밀히 협의할 것"이라며 "최근 엔화와 원화의 급격한 평가절하에 대한 일본과 한국의 심각한 우려를 인지했다"는 문장을 넣었다.
정상회의 의제가 아니었던 핵심분야 과잉공급 문제도 한·미·일 사이의 현안으로 떠올랐다. 최근 중국을 방문한 옐런 장관은 중국의 과잉생산 문제를 제기했다. 중국이 경기 침체를 해결하기 위해 저가 물품을 해외로 대량 수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우려를 반영하듯 공동선언문에는 "공급망 취약성과 핵심 부문의 경제적 강압과 과잉생산 등 다른 국가의 비시장 경제 관행이 우리 경제에 미칠 수 있는 피해를 극복하기 위한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문구를 담았다.
외환시장과 과잉공급 외에는 대부분 지난해 정상회의 의제를 발전시킨 내용들이다. 대북·대러 제재 상황을 공유하고 향후에도 각자의 제재 수단을 활용해 공조한다는 내용 등이 대표적이다. 다자개발은행 개혁, 태평양 도서국 지원 역시 마찬가지다.
최 부총리는 회의 시작 전 모두발언에서 "안정적인 무역·경제 질서를 위협하는 요소로 인한 공급망 교란 등에 대해선 3국 간 긴밀한 대화와 연대를 통해 전략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금융 측면의 불안에 대해서도 3국이 협력해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옐런 장관은 "탄력적 공급망 확대, 경제적 강압 대응, 경제 제재 회피 방지 등은 역내 및 세계 공동 목표"라고 강조했다. 스즈키 재무상은 "공동 도전과제를 논의하면서 해법을 함께 모색하고 한·미·일이 협력을 강화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워싱턴DC(미국)=정현수 기자 gustn99@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