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2 (금)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초고령사회 진입… 서울시, 경로당을 바꾼다[K인구전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복지재단, 경로당 실태조사 전면 착수

팬데믹 후 운영 한계… 새 활용체계 요구 반영

'스마트 경로당' 확대 사전 작업… AI·IoT까지

서울시가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경로당에 대한 변화를 시도한다. 어르신들을 위한 단순 프로그램 강화가 아닌 스마트 시스템을 적용한 관리 및 운영 체계의 개편이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거치면서 경로당의 기능이 크게 떨어진 만큼 중장기적인 복지 차원으로 다뤄보겠다는 복안이다.

9일 서울시의회 등에 따르면 서울시와 산하 서울시복지재단은 최근 서울시 경로당의 전반적인 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재단 관계자는 "인구구조 변화와 노인의 여가복지 수요 증가에 따른 경로당의 변화를 고민하기 위한 과정"이라며 "서울시와 함께 고령 인구 확대를 고려한 새 활용 체계 수립을 진행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네 노인들의 친목 도모와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노인정'에서 시작된 경로당은 1980년대 후반 법적 노인복지시설로 편입됐지만 운영에 한계를 보여 왔다. 정부가 나서 프로그램 강화에 적지 않은 예산을 썼음에도 개별 활동은 늘지 않아 여전히 동네 '사랑방'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팬데믹 이후에는 방문자마저 줄어드는 상황을 맞았다. 지난해 말 기준 서울시 내 경로당은 총 3535개에 달하지만 최근 들어서도 이용자는 늘지 않고 있다. 일부 현장에서는 회계상의 문제나 집단 간 다툼도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서울시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초고령 사회가 내년부터 시작될 예정인 만큼 경로당을 지역 노인의 여가복지활동장소로 활용할 방침이다. 이른바 경로당에 지속가능한 운영 체계를 도입하겠다는 것으로 그동안 정부와 지자체가 일방적으로 추진했던 프로그램 강화와는 다르다.

내부적으로는 이번 조사를 통해 첨단기술이 대거 적용된 '스마트 경로당'의 확대 추진이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각종 센서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관리의 부담을 줄여주는 '스마트홈' 기능은 물론 인공지능(AI)·로봇·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관리 체계 변화가 대표적이다. 경로당은 물론 이용자들의 돌봄공백까지 해결하겠다는 것으로, 추후 모니터링 관리도 수월할 것이라는 게 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여기에는 시가 이미 자체적으로 마련한 어르신 스마트 돌봄 체계가 대거 적용될 수도 있다. 앞서 서울시는 어르신들을 위한 기존 인력 중심의 서비스를 스마트 기기로 대체·확대하는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홀로 사는 어르신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켜주는 '반려로봇'은 물론 쓰러짐 등 긴급상황 발생 시 119로 자동 연락해주는 시스템도 경로당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같은 조치가 실질적 이용자의 증가로 이어질지는 좀 더 면밀한 사전 검토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장기 운영을 위한 체계적인 예산 관리 지침도 필요하다. 재단 관계자는 "어르신들의 접근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고민도 이뤄질 예정으로 세부적인 실태조사 결과가 나오는 하반기에는 실효성 높은 정책 추진 계획이 세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