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이통사 출범을 앞둔 '스테이지엑스'가 7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베서더 서울에서 미디어데이 행사를 개최한 가운데 서상원 대표가 28GHz 통신 사업 전략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머니S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T가 기존에 구축했던 5G 28㎓ 기지국을 제4이동통신사인 스테이지엑스에 매각할 전망이다.
7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스테이지엑스는 KT의 5G 28㎓ 기지국 매입 논의를 진행 중이다. 서상원 스테이지엑스 대표는 "이통3사 중 한 곳이 기존 5G 28㎓ 기지국 판매 의사를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스테이지엑스와의 협력은 아직 확정된 바 없다"는 KT 관계자의 말처럼 가격 등 구체적 논의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지만, 양측의 매입·매수 의사는 확인한 셈이다.
이통3사가 구축한 약 5059대의 5G 28㎓ 기지국 중 스테이지엑스가 활용할 수 있는 것은 KT가 구축한 1586대 뿐이다. 지난 1월31일 스테이지엑스가 획득한 5G 28㎓ 주파수는 이통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가 기지국 구축 할당량을 채우지 못해 지난해 반납한 2400㎒ 중 KT가 받았던 800㎒(26.5~27.3㎓ 대역)이기 때문이다. 다른 주파수 대역을 활용했던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기지국은 스테이지엑스에 무용지물이다.
KT의 5G 28㎓ 기지국 매매가 성사되면 KT와 스테이지엑스 모두에게 윈-윈(win-win)이다. KT 입장에서는 지난해 11월 주파수 할당 취소 후 놀고 있는 기지국을 팔 기회다. 스테이지엑스가 구매하지 않으면 매몰 비용 처리를 해야 하는 고철 덩어리가 된다. 스테이지엑스 입장에서는 1600개에 가까운 기지국을 한번에 확보할 기회다. 빠르게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스테이지엑스는 지난 1일 "내년 상반기부터 28㎓ 핫스팟 지역에서 기존 5G보다 빠른 속도의 서비스를 데이터 과금 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며 "지하철의 28㎓ 백홀 와이파이 구현을 위한 기지국 설치를 우선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수도권 지하철역 218곳에는 이통3사가 공동 구축한 5G 28㎓ 백홀 와이파이용 기지국이 총 1526대 설치돼 있는데, 이 중 3분의 1인 약 500대가 KT 몫으로 알려졌다. 이 기지국을 확보하면 스테이지엑스는 5G 28㎓ 서비스 개시 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
관건은 스테이지엑스가 이렇게 확보한 기지국이 '의무구축분'에 포함될 수 있느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테이지엑스에 3년 내 최소 6000대의 28㎓ 기지국을 구축하도록 했다. 5G 28㎓ 기지국 구축 비용은 대당 약 2000만원으로 알려졌다. 6000대를 모두 설치하려면 최소 1200억원이 필요하다. 만약 과기정통부가 이렇게 구매한 기지국을 의무구축분으로 인정해 준다면 스테이지엑스는 기지국 투자비용을 아낄 수 있다. KT가 보유한 기지국을 모두 판다면 전체 의무구축분의 4분의 1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다.
스테이지엑스가 구매한 기지국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과기정통부의 입장이 달라질 전망이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스테이지엑스는 기간통신사업자로서 국내 네트워크 전체에 새로운 설비를 투자해야 할 의무가 있다"며 "기존 기지국 장비를 뜯어 추가 투자 후 자신들의 망을 새롭게 구축한다는 의미라면 (의무구축분으로 인정할지 말지) 해석의 여지가 있다"고 했다. 이는 KT가 구축한 기지국을 그대로 단순 활용만 한다면 의무구축분으로 인정해주기 힘들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편 스테이지엑스 컨소시엄을 주도하는 알뜰폰(MVNO) 기업 스테이지파이브는 지난해 매출 443억원과 영업손실 13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62.9%(171억원) 늘었지만, 영업손실도 같은 기간 55억원에서 130억원으로 2배 이상 확대된 결과다. 4이통사 출범 초기 거액의 투자금이 필요한 만큼 자금력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지만, 스테이지파이브는 "올해 본격적인 흑자전환에 나설 것"이라고 자신했다.
배한님 기자 bhn25@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