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선거와 투표

처음으로 ‘총선 사전투표율’ 30% 웃돌 전망, 여야 복잡한 주판알[이런정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4년 실시 후 사전투표율 상승 추세

지난 대선 결과·조국 등장 등 달라진 상황

여야 모두 사전투표 독려, 지지층 투표 관건



헤럴드경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이승환 기자] 4·10 총선을 앞두고 사전투표율이 높으면 ‘진보 진영‘에 유리하다는 통념에 힘이 빠지고 있다. 그간 더불어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수도권과 젊은층이 상대적으로 사전투표 참여율이 높다는 인식에 기반했던 통념이다. 하지만 이번 총선은 상황이 달라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사전투표 참여층이 확대되고 젊은 유권자들의 지지 성향에도 변화가 감지된다는 분석이다.

29일 정치권에 따르면 다음달 5일부터 이틀간 실시되는 사전투표에서 투표율이 30%를 넘길 가능성이 점쳐진다. 지난 2014년 사전투표제가 처음 도입된 이후 치러진 총선에서 사전투표율이 30%를 넘긴 적은 아직 없다.

이번 총선에서 사전투표율이 30%를 넘길 수 있다는 분석은 투표율의 추세와 지난 대선 사전투표율 등이 고려됐다. 우선 사전투표율은 꾸준히 상승세다. 지난 2014년 6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사전투표율은 11.49%였는데 2022년 6월에 치러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20.62%를 기록했다. 또한 지난 2016년 4월의 ‘제20대 총선’ 사전투표율은 12.19%였고, 2020년 4월에 치러진 ‘제21대 총선’에서는 26.69%로 높아졌다.

대선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 2017년 5월에 치러진 ‘제19대 대선’에서 26.06%를 기록했던 사전투표율은 2022년 3월의 ‘제20대 대선’에서 36.93%로 높아졌다.

특히 대선의 사전투표율은 이후 치뤄지는 총선 사전투표율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읽힌다. 19대 대선에서 사전투표율이 26%대였고, 이후 치러진 21대 총선 역시 26%대를 나타냈다. 이에 선거별로 높아지는 사전투표율과 직전 대선 사전투표율을 고려할 경우 이번 22대 총선의 사전투표율이 30%를 넘길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헤럴드경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간 사전투표는 민주당에 유리하게 해석돼 왔다. 사전투표율이 높으면 진보, 낮으면 보수에 유리하다는 것이 통상적인 선거 공식이었다. 하지만 이런 공식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지난 20대 대선은 역대 가장 높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했지만, 보수 진영이 이겼다.

이번 총선의 선거 구도가 사전투표의 통념을 깰 가능성도 높다. 여야의 극단적인 대립으로 중간지대인 중도-무당층이 늘어나고 있다. 상대적으로 사전투표 참여율이 높은 2030세대에서 진보 진영에 대한 지지세가 예전만 못하다는 관측이 많다. 조국혁신당 범진보 진영으로 묶이는 상황이 2030세대의 표심을 밀어내고 있다는 분석이 대표적이다. 공정성에 민감한 젊은 유권자들 사이에 ‘반조국 정서’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이다.

사전투표의 ‘유불리’를 따지기 어려운 상황에서 여야는 한 목소리로 사전투표를 독려하는 중이다. 사실상 지지층의 투표 결집이 이번 총선의 승부처라는 인식이다. 사전투표부터 지지층의 투표율을 끌어올려야 한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 서울 성동구 왕십리역 광장 유세에서 “사전투표, 본투표 가리지 말고 무조건 투표장에 가 달라”고 했고, 이해찬 민주당 상임 공동선대위원장은 이날 이재명 대표가 재판 일정으로 불참한 선대위 회의에서 “일주일 후면 사전투표가 시행 된다. 본격적으로 표심이 드러나기 시작한다”고 말했다.

여론조사업체 조원씨앤아이 김대진 대표는 “야당을 지지하는 4050세대와 현 정부를 지지하는 60대 이상 유권자 가운데 어느 쪽이 투표장에 많이 가느냐가 (선거 막판)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nic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