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의 목성 탐사선 주노가 2022년에 촬영한 목성의 달 유로파. (출처: NASA/JPL-Caltech/SETI 연구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 우주항공국(NASA)이 개발 중인 탐사선 유로파 클리퍼(Europa Clipper)는 유로파에서 얼음 알갱이 1개만 채취한다면 생명체 존재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을 것으로 과학자들은 생각하고 있다.
2024년 10월에 발사가 예정되어 있는 유로파 클리퍼는 목성 궤도를 돌며 갈릴레이 4대 위성 중 하나인 유로파를 근접 통과하는 방식으로 탐사할 계획이다.
유로파는 그 지하에 지구 바닷물보다 2배 가량 많은 수량을 가진 바다를 품고 있는 위성으로,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서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으로 지목되어왔다.
만약 NASA의 유로파 클리퍼 탐사선이 유로파에서 분출된 얼음 한 조각을 포획한다면 외계 생명체의 증거를 충분히 밝힐 수 있다는 새로운 실험 결과가 최근에 발표되었다.
이 연구의 공동저자인 프랑크 포스트버그 베를린 자유대학 교수는 성명에서 “NASA 유로파 탐사선의 표면 먼지 분석기와 같은 적절한 장비를 사용하면 얼어붙은 유로파에서 생명체나 그 흔적을 찾는 것이 생각보다 쉬울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얼어붙은 목성 위성에 대한 첫 번째 전용 임무인 유로파 클리퍼는 2024년 10월에 발사될 예정이며, 목성 궤도 도착은 2030년에 이루어질 것이다. 탐사선은 거의 50번의 유로파 근접 비행을 수행하는데, 최대 25km 고도까지 접근할 계획이다.
임무의 주요 목표는 유로파 지하 바다에 생명체가 서식할 가능성과 얼음 껍질의 두께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다. 이 임무의 본래 목적은 직접 생명체를 찾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과학자들은 어쩌면 이 같은 과외의 성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는 사실에 눈뜬 셈이다.
유로파 클리퍼 탐사선의 상상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태양계에는 유로파와 같은 해양 위성이 하나 더 있는데, 바로 토성의 달인 엔셀라두스다. 2006년 토성에 대한 카시니 임무는 ‘호랑이 줄무늬’라는 별명을 가진 표면 균열을 통해 엔셀라두스의 바다에서 분출되는 수증기 기둥이 발견되었다.
2014년 허블 우주망원경은 유로파 표면 위로 200km 높이로 솟아오르는 비슷한 모양의 얼음입자 기둥을 관찰했다. 2년 후, 같은 위치에서 또 다른 연무가 분출되는 것이 목격되었다. 그러다가 2018년 들어 NASA 천문학자들은 1995년부터 2003년 사이 목성 주변 궤도를 돌던 갈릴레오 탐사선이 실제로 그 기둥을 통과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유로파 클리퍼가 얼음입자 기둥을 통과할 수도 있다는 가정 하에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 대학의 파비안 클레너가 이끄는 연구팀은 우주선의 표면 먼지 분석기(SUDA)가 바다에서 올라온 깃털 같은 얼음 입자에서 생체를 감지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했다.
SUDA는 달이 미세 운석에 의해 지속적으로 폭격을 받을 때 우주로 흩뿌려지는 유로파 표면 얼음 입자와 먼지를 연구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아울러 기둥의 얼음 입자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험실에서 장비에 대해 얼음 알갱이의 고속 충격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은 매우 비실용적이므로, 그 대신 클레너 팀은 박테리아의 일종인 핑고픽시스 알래스켄시스(Sphingopyxis alaskensis)가 포함된 빠른 수증기 제트를 진공 챔버에 발사했다.
이 박테리아는 알래스카 해안의 바닷물에서 발견되며, 추운 기온과 소수의 영양분만으로 생존하는 것으로, 유로파의 바다에서 생존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생명체의 하나다.
2014년(왼쪽)과 2016년에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본 유로파의 분출 물기둥 이미지.(출처: NASA/ESA)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박테리아는 “극도로 작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엔셀라두스나 유로파와 같은 해양 세계에서 방출되는 얼음 알갱이에 포함될 수 있다”고 클레너는 성명서에서 말했다.
실험에서는 진공으로 인해 워터 제트가 얼음 알갱이처럼 얼어붙는 물방울로 분해되면 그 다음 SUDA가 입자를 질량 분석기로 연구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박테리아는 실제로 단 하나의 얼음 알갱이를 연구하는 것만으로도 검출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 표면의 3분의 2를 덮고 있는 바닷물을 모아 물공을 만든다면 지름이 겨우 1,400km로, 지구 지름 12,800km의 10분의 1보다 조금 큰 정도다. 목성의 위성 유로파는 지구 바다보다 2~3배나 많은 물을 가진 바다가 지각 아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출처:NASA)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클레너는 “우리는 우주선에 탑재된 질량 분석기로 세포 물질의 아주 작은 부분이라도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라고 확인하면서 “우리의 결과는 앞으로 나올 장비를 사용하면 지구와 유사한 생명체를 탐지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해주며, 그러한 생명체가 바다를 품은 달에 존재할 수 있다고 점점 더 믿게 되었다”고 덧붙였다.
유로파 클리퍼의 탑재 과학장비는 DNA를 식별할 수 없지만 SUDA는 생물학적 세포막을 형성할 수 있는 지방산과 지질을 감지할 수 있다. 지구의 해양에서 물이끼의 얇은 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지질막이다. 파도의 비말에 독특한 냄새를 주는 것은 바로 이 물질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저널에 3월 22일 게재됐다.
이광식 과학 칼럼니스트 joand999@naver.com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