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의대 정원 확대

정부, 의대 정원 2천명 ‘배분’ 착수…지역인재 배정 늘어날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5일 교육부·복지부 배정심사위원회 첫 회의

의대 증원분 2000명 중 80% 비수도권 배정

최대 수혜자 미니의대·지방 거점 국립대로 전망

헤럴드경제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안효정 기자] 정부가 의대 입학 정원 배정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정부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분 2000명 중 80%에 해당하는 1600명을 비수도권 의대에 배정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수도권의 ‘미니 의대’와 지방 거점 국립대가 최대 수혜자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5일 정부는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공동으로 구성한 의대 정원 배정심사위원회(배정위) 첫 회의를 열고 대학별 배분 규모를 본격 논의한다.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정부는 의대 입학 정원 2000명을 수도권에 20%, 비수도권에 80% 정도로 배분한다는 방침이다. 수도권에 400명, 비수도권에 1600명의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것이다.

현재 전국 40개 의대 정원은 총 3058명으로, 수도권 정원이 13개교 1035명(33.8%), 비수도권 정원 27개교, 2023명(66.2%)이다. 정부 방침대로 의대 입학 정원이 배정된다면 수도권 정원은 13개교 1435명, 비수도권 정원은 27개교 3623명으로 늘어난다. 전체 의대 정원(5058명)에서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율은 28.4%로 줄어들고, 비수도권 정원은 71.6%로 그만큼 증가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비수도권의 정원 50명 미만 ‘미니 의대’와 국립대 병원 등 지방 거점 국립대가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비수도권 의대 중 건국대(충주)와 대구가톨릭대, 을지대, 울산대, 단국대, 제주대 등 6개 대학은 정원이 40명으로 가장 적다. 강원대와 충북대, 가톨릭관동대, 동국대(경주), 건양대, 동아대 등 6개 대학도 정원 각 49명으로 소규모 의대에 속한다.

그간 의료교육계에서 꾸준히 “의대 운영에 투입되는 자원에 비해 정원이 지나치게 작다”는 목소리가 나온 만큼 이번 비수도권 중심의 의대 증원 방침이 미니 의대의 운영 비효율성을 해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비수도권 거점 국립대는 강원대(정원 49명), 경상국립대(76명), 전남대(125명), 경북대(110명), 충남대(110명), 부산대(125명), 전북대(142명), 제주대(40명), 충북대(49명) 등 9곳이다.

일각에서는 지방 거점 국립대 9곳 중 7곳 의대 정원의 정원이 200명으로 대폭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7곳 증원 규모만 600명 이상이 되는 셈이다. 상대적으로 입학 정원 규모가 작은 제주대와 강원대 역시 200명만큼은 아니더라도 많이 증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정부가 이번 증원으로 지방 거점 국립대의 경쟁력을 확실히 높이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앞서 정부는 2025학년도 대입에서 의대 정원을 2000명 확대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비수도권 의대 중심 집중 배정’을 기본 원칙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 외에도 정부는 ▷각 대학의 제출 수요와 교육 역량 ▷ 소규모 의과대학 교육역량 강화 필요성 ▷ 지역의료 및 필수 의료지원 필요성 등을 배정 기본 원칙으로 두고 있다는 입장이다.

증원분의 최종 배정은 교육부, 복지부 관계자와 전문가 등이 참여한 배정위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정위가 증원하는 2000명을 대학별 배분하면 각 대학이 입시요강에 이를 반영하는 절차를 밟는다. 이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승인을 거쳐 2025학년도 대입시행계획이 확정된다.

정부는 이달 중 정원 배분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수험생들에게 입시 준비할 시간을 주고, 대학들이 대입 절차를 빨리 진행할 수 있도록 속도를 낸다는 것이다. 2000명 늘어난 전국 의대 최종 모집정원은 통상 5월 발표되는 ‘대학 신입생 모집요강’에 반영된다.

a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