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의대 정원 확대

의대정원 25학년도부터 확대…전공의 수련비용 지원금 인상[의료개혁, 4대 패키지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35년 1만5000명 부족에 대비, 의대 정원 확대…의협 등 의사단체와 협의 진행

필수의료과 중심 전공의 수련비용 산부인과, 외과계 등으로 지원 확대

헤럴드경제

윤석열 대통령이 1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여덟 번째, 생명과 지역을 살리는 의료개혁’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정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대 입학정원을 확대하고, 수급추계에 따른 주기적 정원 조정시스템을 구축한다. 정원 증원과 함께 의대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충분한 임상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수련‧면허체계를 개선하는 한편, 전공의 36시간 연속근무 축소를 통한 수련환경 개선과 병원의 전문의 중심 운영 전환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정부는 1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생명과 지역을 살리는 의료개혁’이라는 주제로 열린 여덟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2035년 의사 1만5000명 부족에 대비 2025학년도 의대 입학정원 확대정부는 현재 의료취약지에서 필요한 약 5000명과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연구기관이 2035년에 부족할 것으로 전망한 약 1만명 등 총 1만5000명의 의사를 확보하기 위해 2025년부터 의대 입학정원을 확대한다.

정부는 대한의사협회와 지난해부터 27회의 의료현안협의체를 열고 의과대학의 현장 수용역량, 지역의료 인프라, 인력 재배치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증원 규모를 결정할 예정이다.

전문의 중심 병원 개편과 연계해 근무시간 등을 포함한 종합적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도 추진한다.

올해 연속근무 36시간 축소 시범사업을 우선 추진하고, 성과평가 후 전체 수련기관으로 확산하고 관련 법령 정비에 나설 계획이다.

3년 주기의 수련실태 조사도 새롭게 시행한다. 또, 전공의 권익 보호 창구를 설치하고, 수련환경평가에 전공의 대표 비중을 현재 평가위원회 15인 중 2인에서 늘려 의사결정 참여를 확대한다.

필수진료과 중심 전공의에 대한 수련비용 지원을 확대해 월 100만원씩 지원하는 진료과를 소아청소년과에서 산부인과와 외과계 등으로 확대하고 지원금을 인상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국립대 필수의료 전임교수 정원 확대…종합병원·의원 간 공유형 진료체계 확립인력 운용 혁신을 위해 현재와 같은 전공의 의존에서 탈피해 병원이 전문의 중심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인력구조와 운영을 단계적으로 전환한다.

2025년부터 국립대병원 필수의료 전임교수 정원을 확대하고, 각종 지정·평가 시 가점을 부여해 사립대병원까지 교수 채용 확대를 유도한다.

전문의 고용 확대, 전공의 위임 업무 축소, 병원 인력 간 업무 분담이 더욱 유리하도록 정책 가산 등 보상체계를 개선하고, 입원전담 전문의 제도 개선, 팀 단위 업무 재설계, 진료지원인력 시범사업 등을 통해 인력 운영 효율화를 통해 업무부담을 줄여갈 계획이다.

인력난 해소를 위해 기관 경계를 넘어 의사가 진료 현장으로 이동해 진료하는 공유형 진료체계도 확립한다.

고위험 분만·신생아집중치료실을 보유한 종합병원과 산부인과 의원 간 협업하고, 지역 공백이 발생하고 있는 희소·중증 진료는 권역책임의료기관, 상급종합병원 등에서 지역 병원에 전문의를 주기적으로 파견하는 식이다.

의사 면허와 별도로 진료 면허를 취득해야 하는 해외 사례를 참고해 임상 수련과 연계한 개원면허의 단계적 도입을 검토하고, 5년 주기로 신체·정신 상태 조사 등을 평가해 진료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적합성 검증체계를 구축해 의료 질을 높이는 등 면허관리 체계의 선진화를 추진한다.

헤럴드경제

[123RF]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thle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