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 ‘수산생물 병성감정 실시기관’ 지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수산생물 병성감정기관 지정

올해부터 병성감정·방류 수산생물 전염병 검사 가능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는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수산생물 병성감정 실시기관'으로 지정받았다.

‘수산생물 병성감정 실시기관’이란 임상검사, 부검, 혈액검사, 미생물검사, 병리조직검사 등의 방법으로 수산생물의 전염병을 진단할 수 있는 기관이다.

수산생물에 대한 병성감정을 실시할 수 있는 시설과 능력을 갖춘 국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소속 연구기관, 대학 또는 민간연구소 등이 수산생물 병성감정 실시기관으로 지정될 수 있다.
아시아경제

병성감정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산생물 전염병은 26종(세균성·곰팡이성·기생충성·바이러스성 질병 등)에 이른다.

연구소는 수산질병관리사(2명), 병성감정 실무자(1명) 등 전문인력과 전용실험실, 필수 진단장비(20여종) 등 요건을 갖춘 다음,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에 수산생물 병성감정 실시기관 지정을 요청했다.

그 결과,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업무수행능력 평가와 현지 조사를 모두 통과해 병성감정 실시기관으로 최종 지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번 병성감정 실시기관 지정으로, 연구소는 올해부터 수산생물 병성감정과 방류 수산생물 전염병 검사를 할 수 있게 됐다.

특히 방류 수산생물은 반드시 수산생물 전염병 감염 여부 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이번 지정으로 그간 다른 기관에 의뢰해 실시했던 검사를 연구소에서 직접 할 수 있게 됐다.

방류 수산생물은 69개 품종(해면 53개 품종, 내수면 16개 품종) 등이다.

강현주 시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이번 지정으로 수산생물 질병 진단과 방역 조치를 더욱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됐다”라며 “수산생물의 안정적인 생산·공급과 수생태계 보호에 앞으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영남취재본부 이동국 기자 marisd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