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연금과 보험

삼성증권, 개인형 연금 적립금 11.2조…전년比 4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사진 = 삼성증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증권의 확정기여형(DC)·개인형퇴직연금(IRP)·연금저축을 합한 개인형 연금 적립금이 11조원 돌파했다.

삼성증권은 개인형 연금 적립금 규모가 지난 2022년 말 7조9000억원 수준에서 지난해 말 11조2000억원으로 증가해 연간 41.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특히 DC와 IRP, 연금저축의 연간 성장률은 각각 40.2%, 40.8%, 42.6%로 고르게 성장했다.

금감원 퇴직연금 비교공시 사이트를 통해 확인한 증권업권의 퇴직연금 시장별 잔고를 보면, DB제도의 적립금은 2020년 말 33조6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43조7000억원으로 3년간 30.0% 증가에 그쳤다. 그러나 같은 기간 DC 규모는 10조5000억원에서 20조8000억원, IRP 규모는 7조5000억원에서 22조3000억원으로 각각 97.9%, 195.1% 증가했다.

개인형 연금 적립금이 고속 성장한 배경에는 고객 중심의 연금 서비스가 있다는 게 삼성증권의 설명이다. 회사는 공식 모바일트레이딩서비스(MTS)인 엠팝(mPOP)에서 연금관리를 제공한다. 또 상담과 세미나를 분석해 파악한 연금 가입자들의 니즈를 카드뉴스, 유튜브 영상 등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로 제공해 연금 고객들의 연금자산 리밸런싱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삼성증권은 ‘다이렉트 IRP’를 출시해 퇴직연금 수수료 체계의 판도를 바꿨다. 여기에 가입 서류 작성과 발송이 필요 없는 ‘3분 연금’ 서비스, 카카오톡을 활용해 연금을 관리할 수 있는 ‘연금 S톡’ 서비스도 선보였다. 아울러 연금센터에 프라이빗뱅커(PB) 경력 10년 이상의 숙련된 인력을 배치해 전문화된 연금 상담도 제공하고 있다.

연금수익률도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삼성증권 DC 원리금 비보장형 수익률은 16.93%를 기록해 DC 원리금 비보장형 적립금 상위 5개 증권사 중 1위에 올랐다. IRP 역시 원리금 비보장형 수익률이 16.64%를 기록해 IRP 원리금 비보장형 적립금 상위 5개 증권사 중 1위를 달성했다.

유정화 삼성증권 연금본부장(상무)은 “퇴직연금은 30년 이상의 먼 미래를 바라보는 제도로 연금 가입자 라이프사이클 전반의 연금 운용 솔루션을 제공해 은퇴자산을 탄탄하게 키우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증권은 오는 3월 31일까지 ‘연금 투게더’ 이벤트를 진행한다. 기간 내 신규 입금, 퇴직금 입금, 타사연금 가져오기, 만기된 ISA를 연금으로 입금하면 순입금액 300만원 이상 구간에 따라 경품을 지급해 최대 73만원의 혜택이 가능하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