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이슈 정치권 사퇴와 제명

[尹-韓 갈등 관전포인트]④한동훈 끝까지 갈까, 중도사퇴 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진사퇴, 윤리위 제소 시나리오 살아있어

총선 앞두고 한동훈 체제 붕괴는 어려울 듯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살아있는 권력’인 윤석열 대통령과의 갈등에서 자리를 지킬 수 있을까. 총선 일정 등을 고려하면 한 위원장의 중도 사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확전 양상에 따라 추가 충돌 등이 벌어질 경우 예측불허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

23일 정치권의 최대 관심은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의 갈등이 어디까지 이어질 수 있느냐다. 여권 내에서는 수습이 최선이라는 인식이 공유되고 있다. 그러나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의 결단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변수는 여전하다. 자칫 감정적 고리가 악화할 수 있다.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은 전날 "(한 위원장이) 물러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이 경우 의원총회 등을 열어 자진사퇴를 압박하고, 안 되면 실제로 한 위원장을 윤리위원회에 제소해 비대위원장 직무를 정리하는 식의 수순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보다는 한 위원장이 자리를 지킬 가능성이 현재로선 커 보인다. 무엇보다 총선을 78일 앞두고 한 위원장이 물러날 수 있겠냐는 것이다. 이미 국민의힘은 이준석 전 대표(현 개혁신당 대표)의 퇴출, 김기현 전 대표의 사퇴 등 비정상적인 과정을 여러 차례 겪었다. 총선을 앞두고 또다시 지도부가 무너지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총선은 ‘해보나 마나’한 상황이 된다. 이상민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에서 " 체제가 물러나거나 대통령 뜻대로 한다면 진짜 국민의힘은 존재할 수가 없다. 풍비박산이 날 것"이라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총선 준비 등도 차질이 불가피하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한 위원장이 사퇴하면) 비대위원장을 뽑는 과정을 거치고 공천도 연기되고 이 과정에서 원칙이 조정되면서 (선거를 앞두고) 전국에서 뛰는 사람들이 큰 혼란에 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 내에서는 이번 갈등의 원인으로 꼽히는 김건희 여사 리스크와 관련해, ‘사과 같지 않은 사과’를 일종의 해법으로 보고 있다. 이철규 국민의힘 인재영입위원장은 KBS라디오에서 김 여사의 명품가방 수수 논란과 관련해 "국민께서 상당수 의아하게 생각하는 분들이 있다"며 "‘잘못이다’라고 사과하라는 측면보다 몰카 공작 사건의 진실이 무엇인지를 국민께 알 수 있게끔 설명하는 절차를 (한 위원장이 해법으로) 말한 것으로 이해한다"고 말했다. 사과 형식을 빌려 명품가방 수수 의혹 전말을 설명하는 식이다. 한 위원장은 전날 김 여사 관련 입장에 변화가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제 입장은 처음부터 한 번도 변한 적이 없다"고 답했었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