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발 다음에 앞발 닿는 고난도 기술
연착륙 했지만 태양전지 발전 안돼
"우주외교 무대에서 입지 강화 기회"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작사)의 달 착륙선 '슬림'이 달에 착륙한 20일 도쿄 남부 사가미하라에서 열린 공개 관람 행사에서 사람들이 환호하고 있다. 도쿄=로이터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본의 달 탐사선 '슬림(SLIM)'이 20일 달 착륙에 성공했다. 인류가 만든 우주비행체를 달 표면에 착륙시킨 것은 미국, 러시아(구 소련), 중국, 인도에 이어 일본이 다섯 번째다. 다만 '달 저격수'라는 별명처럼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착륙하는 것을 목표로 했던 슬림이 해당 임무를 완수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선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작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달 탐사선 슬림이 0시쯤 달 상공 15㎞에서 강하를 시작해 약 20분 뒤 달 적도 부근 표면에 연착륙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작사 관계자는 "슬림이 달 표면에 도달한 뒤 지구와 통신은 되지만, 태양전지로 발전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남은 배터리로 달 표면의 데이터를 얻는 것을 우선하고 있다"면서 "배터리 이용으로 탐사 시간과 범위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슬림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착륙을 목표로한 예정지 100m 범위 내에 안전하게 닿는 것이다. 기존 달 탐사선은 착륙 목표 범위를 수㎞에서 수십㎞로 잡았던 것과 달리, 매우 좁은 착륙 예정지에 정확하게 연착륙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궤도를 돌던 탐사선이 달 상공 7㎞에서 수직 하강을 시작함과 동시에 목표 지점과 장애물을 탐색하고, 정확한 속도로 위험을 회피하면서 연착륙하는게 기술의 핵심이다. 또 슬림의 착륙 목표 지역은 달 적도 남쪽의 시올리 분화구로, 약 15도 정도 기울어진 경사면이다. 탐사선의 뒷발이 먼저 착륙지에 닿은 후 앞발이 표면에 떨어져야 하는 고난도 착륙이다.
슬림이 달 표면에 착륙한 모습 상상도.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작사 측은 슬림이 목표 지점에 정확하게 도달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에 1개월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전문가들은 슬림의 정밀 착륙 기술이 입증될 경우, 탐사 영역이 훨씬 넓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천이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우주탐사체계설계부장은 "정밀하게 착륙할 수 있다는 것은 과거에 접근이 어려웠던 지역에도 탐사선을 보낼 수 있다는 뜻"이라면서 "평평한 지역이 아닌 분화구 인근에도 착륙이 가능해질 것이다. 백록담을 탐사하기 위해 한라산을 힘들게 오를 필요 없이 백록담에 바로 착륙하면 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번 탐사선 착륙은 일본이 '우주강국'의 면모를 입증하는 계기가 되는 것은 물론, 우주 외교 무대에서 입지를 넓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최기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일본은 미국 주도의 유인 달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계획'의 주요한 참여국"이라면서 "슬림의 달 착륙 성공은 일본 우주탐사 기술의 중요한 이정표인 동시에, 여러 우방국이 참여하는 아르테미스 계획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르면 오는 5월 우주항공청이 개청되는 만큼, 일본의 우주기술 전략을 배우고 기술 격차를 좁혀나가야 한다는 제언도 나온다. 이창진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일본은 세계 최초로 소행성에 탐사선을 보내 시료를 채취해오는 등 실패 가능성이 높음에도 계속해서 새로운 기술을 선보이는 우주 선진국"이라면서 "우리나라도 우주기술을 단순히 과학적인 이벤트나 연구개발 관점에서 볼 것이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 뚜렷한 목표를 세우는 게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현주 기자 memory@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