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 산지, 천연기념물 지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 중장기 보존관리계획 수립 나서

녹지 공원화·교육 시설화도 추진

뉴시스

[포항=뉴시스] 층위단면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포항=뉴시스] 강진구 기자 = 경북 포항시는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가 국가 지정 유산(천연기념물)으로 지정 고시됐다고 30일 밝혔다.

국내에서 대표적인 신생대 식물화석 산지인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는 산출되는 식물화석의 종이 다양하고 화석 밀집도가 매우 뛰어나며 한반도 신생대 전기의 퇴적 환경과 식생, 기후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등 학술적·상징적 가치가 높아 지난 30일 간 예고기간을 거쳐 지정 고시됐다.

남구 동해면 금광리 일원의 금광동층은 1㎞에 걸쳐 두께 70m 내외의 소규모로 분포하는 퇴적암으로, 약 2000만 년 전 동해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형성돼 다양한 종의 식물화석이 층층이 군집해 있다.

이곳에서 확인되는 식물화석은 기록되지 않은 종을 포함해 60여 종이 넘는다. 메타세쿼이아와 너도밤나무, 참나무, 자작나무, 단풍나무 등이 주를 이룬다.

시는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의 지정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문화재청과 협의해 중장기 보존관리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뉴시스

[포항=뉴시스] 너도밤나무 식물화석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시·탐방시설 조성과 화석 표본 수장 시설 구축 등 ‘녹지 공원화’와 ‘교육 시설화’에 필요한 방안을 마련하고 보수 정비사업도 추진할 방침이다.

시 관내에선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를 포함해 이 지역에서 발견된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과 흥해읍 오도리 주상절리 등 총 3건의 지질 유산이 국가 지정 유산(천연기념물)으로 지정됐다.

시는 향후 신생대 제3기층이 분포한 한반도 지질자원의 보고로서 포항의 가치를 널리 알릴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dr.kang@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