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연금과 보험

포스코, KT처럼 깜깜이 CEO 경선… 국민연금 반대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포스코그룹(POSCO홀딩스)이 차기 최고경영자(CEO) 후보자 한 명을 내년 2월 중순까지 확정하기로 하면서 본격적인 회장 선임 절차에 돌입했다. 최종 후보자는 내년 3월 주주총회에서 선임된다. 포스코그룹은 후보자를 공개 모집하지 않고 사내 인사와 외부 추천 등 비공모 방식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업계에서는 ‘깜깜이 심사’라는 비판이 나온다.

포스코와 함께 대표적인 소유분산기업(지분이 분산돼 오너가 없는 기업)으로 꼽히는 KT도 작년 말 CEO 후보를 비공모 방식으로 정했다. 당시 구현모 전 대표를 최종 후보자로 선정하자 국민연금은 “경선의 기본 원칙에 부합하지 못한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KT 지분 8.15%를 가진 국민연금이 반대하자 구 전 대표는 연임을 포기했고 이후 공모 과정을 거쳐 현 김영섭 CEO를 최종 후보로 올렸다.

조선비즈

최정우 포스코 그룹 회장이 지난 6월 오전 서울 용산구 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 2차 총회에 참석하고 있다는 모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21일 임시이사회에서 CEO 후보추천위원회(후추위) 운영을 의결하고 차기 CEO 후보군 선정 방식을 확정했다.

회장 후보군은 별도의 공모 절차 없이 포스코 내부 회장 육성 프로그램을 거친 임원진과 주요 주주로부터 추천받은 사람으로 한다. 또 다수의 국내외 유수 서치펌을 통해 자격요건에 부합하는 다양한 후보를 추천받겠다는 계획이다. CEO 후보 요건은 경영역량, 산업전문성, 글로벌 역량, 리더십, 청렴성·윤리 등 5가지다.

재계에서는 포스코가 KT의 전철을 밟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KT의 구 전 대표는 지난해 11월 연임 의사를 밝힌 뒤 우선 심사제를 통해 ‘적격’ 판정을 받았지만, 국민연금이 반대하자 “기득권을 내려놓고 다른 외부 후보와 경선을 치르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별도의 공모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KT 이사회는 작년 12월 28일 공모 없이 내부 경선으로 구 전 대표를 최종 후보자로 선정했다. 이에 국민연금은 기금운용 본부장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후보 결정이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에 따라 이뤄져야 한다는 경선 기본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면서 “스튜어드십 코드(수탁자 책임 원칙)에 따라 의결권 행사 과정에서 이번 연임과 관련한 사항을 충분히 고려하겠다”고 비판했다. 이후 구 전 대표는 연임을 포기했다.

조선비즈

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 전주 사옥 전경./조선DB



관건은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연임에 도전할지다. 현재까지 향후 거취에 대해 입장을 밝히지 않은 최 회장이 3연임을 위해 경선에 참여할 경우 비공모 방식이 더 불투명하게 보일 수 있다. 국민연금은 포스코홀딩스 지분 6.7%를 보유한 최대주주인데, 경선 방식이나 최종 후보자에 반대 의사를 밝힐 수 있다.

윤석열 정부는 최 회장의 3연임에 부정적인 모습이다. 최 회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16번 해외 순방을 나설 때 한 번도 동행하지 못했다.

CEO 후추위는 내년 1월 중순까지 후보군을 추릴 계획이다. 이후 회장 후보 인선 자문단의 평가 결과를 참고해 1월말 후보군을 압축한다. 내년 2월에는 후보를 5명으로 줄이고 심층 면접을 통해 최종 후보 1인을 결정해 이사회에 추천한다.

여권 관계자는 “KT는 국민연금의 반대로 6개월 넘게 CEO 공석 상태가 발생했는데, KT 내부에서도 처음부터 공모 방식으로 하지 않았던 점을 패착으로 보고 있다”며 “공모를 통해 자격을 가진 사람은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불필요한 오해가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우 기자(foxpsw@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