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2023년 하반기 물가안정목표 점검 설명회 개최
한국은행이 향후 국내 소비자물가 전망에 대해 "'유가 급등' 변수만 아니라면 둔화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도 국내외 경기 흐름과 누적된 비용압력 영향으로 물가 둔화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중장기 물가 목표치인 2% 부근에는 내년 연말쯤에나 근접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한은은 20일 오후 '2023년 하반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를 통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수요측 압력이 약화된 가운데 공급 충격도 점차 줄어들면서 완만한 둔화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11월의 경우 올해 하반기 단기적으로 급등했던 유가와 농산물가격이 하락하면서 물가 수준이 전월 대비 상당폭 둔화(3.8%→3.3%)되긴 했으나 이와 같은 빠른 하락세가 지속되기는 어렵다는 시각이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이후 국내 소비자물가 등락은 석유류가 주도했다. 석유류가격은 지난해 큰 폭 상승한 기저효과가 작용한 가운데 국제유가 향방에 따라 지난 7월까지 하락폭을 키우다 8월을 기점으로 급등락이 이어졌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기상여건 악화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해 10월 물가 상승률이 미국·유로지역 수준을 웃돌았다. 특히 채소와 과일의 경우 여름철 폭우와 병충해 여파로 생산 차질이 발생해 추석 이후까지 고공행진했다고 평가했다. 근원물가에 대해서는 개인서비스를 중심으로 완만한 둔화흐름을 지속했다고 봤다. 공공서비스물가 오름세가 올들어 확대되고 있으나 개인서비스물가와 집값 오름세는 둔화하고 있다는 시각이다.
이에 한은은 향후 소비자물가가 추세적 둔화 속 물가 여건 변화에 따라 속도가 달라질 것으로 예측했다. 물가 등락을 좌우할 주요 변수로는 국제유가와 식량가격 등을 꼽았다. 유가의 경우 글로벌 수요둔화와 비OPEC 산유국 증산 등이 하방압력으로 작용하는 반면 OPEC+(오펙플러스) 감산 이슈와 중동 사태 등 지정학적 불안이 상방리스크로 잠재해 있다는 것이다. 또 곡물가격이 지난해 고점(22년 2분기) 대비 급락했음에도 설탕과 코코아 등 일부 품목 가격 불안과 기상이변도 잠재 리스크 요인이라고 우려했다.
여기에 전기와 도시가스, 대중교통 등 공공요금 인상과 유류세 인하폭 축소 등 정부정책도 내년 물가 둔화를 저해할 요소로 꼽혔다. 한은은 "그간 전기·가스요금 인상폭 제한, 유류세 인하조치 등이 팬데믹 이후의 비용상승 충격을 상당부분 완충한 측면이 있으나 향후 요금이 점진적으로 인상되거나 유류세 인하조치가 환원될 경우 물가 둔화 흐름이 완만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지하철요금 등 대중교통요금 역시 올해 상당수 지역에서 인상됐거나 내년 추가 인상을 예고한 상태다.
민간소비 등 내수 측면에서의 압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양호한 고용상황 속 가계 실질구매력이 개선돼 민간소비 역시 개선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그러나 고금리 장기화에 따라 내수 회복세는 완만할 것으로 점쳐졌다.
한은은 이처럼 완만한 물가 둔화 관측 속에서도 여전히 물가경로 상 불확실성이 높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한은 측은 "국내외 수요부진 심화, 유가 하락 등의 하방리스크는 물론 중동사태 등 지정학적 불안 고조에 따른 유가 재급등, 비용압력의 파급영향 강화, 기상이변 등 리스크가 혼재되어 있다"고 부연했다.
아주경제=배근미 기자 athena3507@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