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필수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26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전국의사대표자 및 확대 임원 연석회의'에서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하며 삭발식을 마친 뒤 참석자들과 함께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방침에 반대하는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총파업 카드를 꺼내 들면서 의료계를 둘러싼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투쟁에는 2020년 의료계 총파업을 이끌었던 최대집 전 의협 회장이 나설 계획인데, 인턴·레지던트 등 전공의나 의대생이 집단행동에 동참할지가 변수로 꼽힌다.
━
최대집 “구속 각오하고 투쟁할 것”
26일 의협 전국의사대표자 회의 후 가진 브리핑. 이정근 상근 부회장, 최대집 전 회장, 이필수 회장, 서정성 총무이사. 채혜선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7일 의협에 따르면 의협은 이번 주부터 이필수 회장을 위원장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있다. 비대위는 상황에 따라 총파업 투표를 진행하는 등 투쟁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강성파로 분류되는 최대집 전 회장은 비대위에 참여해 사실상 투쟁 전면에 나설 계획이다. 최 전 회장은 이날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구속을 각오하고 투쟁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의협은 '정부의 일방적인 증원 추진'을 파업 요건으로 내건 상태다. 이필수 회장은 전날(26일) 전국의사대표자 및 확대 임원 연석회의를 마친 뒤 가진 브리핑에서 “정부가 (의정 협의체인) 의료현안협의체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의대 정원 확대를) 추진한다면 27일부터 즉각적으로 비대위 투쟁 로드맵을 진행해 총파업 투표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파업이 현실이 될지를 두고 의료계 내부에서도 전망이 엇갈린다. 의협보다 전공의나 의대상 같은 이른바 ‘MZ 의료인’의 집단행동 참여를 얼마나 이끌어낼 수 있을지 확실지 않아서다. 개원의가 주축인 의협보다 대형병원에서 일하는 전공의들이 집단휴진했을 때 의료 현장에 미치는 파급력이 더 크다. 2020년 문재인 정부가 의대 정원 증원 등을 추진할 때 이를 의협이 저지한 데에는 전공의 몫이 컸다고 평가받는데, 당시 전공의의 집단휴진 참여율은 80%였다. 의대생들도 의사 국가고시를 거부하며 맞섰다.
━
MZ 의료인 파업 동참할까?
2020년 9월 4일 박능후 당시 보건복지부 장관(오른쪽)과 최대집 당시 대한의사협회장이 의정합의문에 서명한 후 인사하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투쟁 전면에 나선 최 전 회장에 대한 전공의들의 평가는 호의적이지 않다. 2020년 파업 때 의협을 이끌던 최 전 회장이 당시 전공의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와 소통하지 않고 정부와 협상해 대전협 측이 반발하는 일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염두에 둔 듯 최 전 회장은 전날 격려사에서 “투쟁 승리의 관건은 일치단결”이라며 “과거의 견해차나 갈등은 모두 일단 덮고 전 회원이 일치단결해 투쟁 승리 후 예전의 시시비비 중 가릴 게 있다면 다시 가리자”고 말하기도 했다.
2020년 집단휴진 총파업에 나선 대한의사협회 회원들 모습.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공의 A씨는 “전례가 있는 만큼 (전공의들이) 선뜻 나서기에 조심스러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당시 투쟁 경험이 있는 의사 B씨는 “(의대 정원 확대는) 결과가 엉망으로 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한 정책이기 때문에 누구도 가만있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공의 C씨도 “과거에 의협과 어긋났던 경험이 있지만, 현재 정부의 추진 방식이 전공의나 의대생들에게 반감을 주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이연 의협 홍보이사는 이날 통화에서 “그들(전공의)이 제일 걱정하는 건 2020년 사태일 텐데 의협이 대놓고 전공의나 의대생을 집단행동에 앞세울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전공의가 파업 주축에 나서진 않을 것이란 얘기다. 다만 의협 고위 관계자는 “대전협이나 의대생들은 의협 뜻에 따르기로 했다”고 전했다.
의협은 ‘강경 모드’로 전환했지만, 복지부와 대화 기구인 의료현안협의체 회의는 이어가기로 했다. 전날 대표자 회의에서는 “협의체를 통해 복지부에 할 얘기는 계속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한다. 한 의협 회원(전문의)은 “의료계가 서로 복잡하게 얽혀있어 입장이 전부 다르기 때문에 의협이 너무 강하게 나가도 실익이 없다는 우려가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의대 정원 확대에 찬성하는 여론이 압도적 우위라는 점도 의협으로선 부담이다.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