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법원, 5·18 유공자 정신적 피해 인정 “국가가 476억 배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18명 위자료 지급 판결

옥살이 1일당 30만원 등

세부적 산정 기준도 제시

5·18민주화운동 당시 불법으로 끌려가거나 상해를 입은 유공자 1000여명에게 국가가 470여억원의 정신적 손해배상금(위자료)을 지급해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법원은 유공자들에게 국가가 줘야 할 위자료 산정 기준도 제시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46부(재판장 이원석)는 8일 5·18민주화운동 유공자와 유가족이 국가를 상대로 낸 집단 손해배상 소송에서 유공자 1018명에게 위자료 약 476억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 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유공자 본인의 위자료를 전부 인정하했다. 그러면서 위자료 산정 기준을 제시했다. 재판부는 본인이 연행됐거나 옥살이를 한 경우 1일당 30만원, 장애가 남지 않는 상해를 입었다면 500만원, 유공자가 목숨을 잃은 경우엔 4억원의 위자료를 지급해야 한다고 밝혔다. 만일 상해로 장애가 발생했다면 최소(장해등급 14급) 3000만원을 배상해야 하며, 여기에다 노동 능력 상실률이 5%씩 높아질 때마다 1500만원을 더해 지급해야 한다고 했다. 노동 능력 상실률이 100%인 장해등급 1~3급의 경우 국가가 3억1500만원을 지급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유공자가 과거 형사보상금을 받았다면 위자료에서 공제하도록 했다. 정부가 보상심의위원회 결정에 따라 위로금 명목으로 지급한 돈은 공제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재판부는 유족의 위자료에 대해서는 고유의 위자료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대신 유공자의 상속인으로서 유공자의 고유 위자료 중 각자 상속분에 해당하는 금액만 인정했다.

앞서 헌법재판소는 2021년 5월 국가에서 5·18민주화운동 관련 피해보상을 받은 이들은 손해배상 소송을 낼 수 없도록 정한 5·18보상법 조항을 위헌으로 결정했다. 대법원도 2021년 8월 헌재 결정 취지와 같이 “5·18보상법에 따른 보상금 등을 받았더라도 국가의 불법행위로 인한 정신적 손해에 대해서는 추가로 배상 청구를 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이후 5·18민주화운동 유공자와 유족들은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고, 유공자들에게 국가가 위자료를 지급해야 한다는 하급심 판결이 이어지고 있다.

강연주 기자 play@kyunghyang.com

▶ 독립언론 경향신문을 응원하신다면 KHANUP!
▶ 나만의 뉴스레터 만들어 보고 싶다면 지금이 기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