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정치권 보수 진영 통합

“대통령실과 수직적 관계 정상화해야” 국민의힘 수도권 원외위원장들 절박한 목소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 3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수도권 민심, 국민의힘 원외위원장한테 듣는다’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직적인 대통령실과 당의 관계는 반드시 정상화돼야 한다.”

“유승민, 이준석에게 수도권 선거 주도하는 역할 맡겨야 한다.”

국민의힘의 전·현직 수도권 원외당협위원장들이 30일 국회에 모여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 당이 서둘러 바뀌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달 부산에서 서울로 지역구를 옮기겠다고 선언한 하태경 의원이 수도권 원외위원장을 불러모아 당에 필요한 혁신을 말하도록 모은 자리였다. 원외위원장들은 대통령실과 당의 관계 개선과 지도부의 반성, 중도층 지지를 이끌어낼 정책 전환, 원외위원장에 대한 지원을 요구했다. 또 당 지도부에게 의견을 전할 전국 원외위원장 총회를 열어달라고 의견을 모았다.

김용남 전 경기수원병 당협위원장은 이날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수도권 민심, 국민의힘 원외위원장에게 듣는다’ 토론회에서 “당보다 중요한 당원은 없다. 그 당원이 1호 당원(윤석열 대통령)이라도 마찬가지”라며 “수직적인 대통령실과 당의 관계는 반드시 정상화돼야 한다. 지금까지 왜곡된 대통령실과 당의 관계에 책임있는 사람들은 정치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눈치 보지 말고 문제가 뭔지, 누가 책임져야 하는지 논의해야 할 때가 왔다”며 “그래야 떠나버린 민심을 되찾을 수 있다. 시간이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고 변화를 촉구했다.

문병호 서울영등포갑 위원장은 “최근 여론조사나 강서구청장 보궐선거를 보면 젊은층, 중도층이 완전히 이탈했다”고 진단하면서 “다시 연합 세력을 구축해야 내년 총선을 이긴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 당선 후 대통령실이나 당이 과연 국민 눈높이에 맞는 혁신의 방향으로 정치하고 국정을 이끌었느냐 상당히 심각한 반성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정승연 인천연수갑 위원장은 “경제민주화나 대통령이 말한 약자복지 등 보수정당이 등한시했던 아젠다로 (의제를) 바꿔야 한다”며 “중도층 20~30% 국민에게 어필하고 표를 모으는 것이 혁신”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승민-이준석 신당이 나오면 (우리 당이) 직격탄을 맞기 때문에 끌어안아야 한다”며 “수도권 선거에서 주도하는 역할을 맡기는 것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천강정 전 경기의정부갑 위원장은 “작년 지방선거 때 의정부갑 위원장이 시장이 되고 1년4개월동안 당협위원장을 공석으로 두고 있다”며 “우리 당이 승리를 위해 나가고 있는가”라고 질타했다. 그는 “당대표가 검사 공천하지 않겠다고 했는데, 내가 듣기에 자천타천 검사 출신들 굉장히 많이 나와서 움직인다”며 “대통령실이 당무, 공천개입 안 한다고 말했는데, 어느 정도까지 믿을 수 있나. 대통령실을 믿을 수 없는 분위기 아닌가”라고 말했다.

천 전 위원장은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에 대해 “2013년에 차별금지법을 대표발의한 분이다. 우리 당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분”이라고 직격하다가 “본질에 벗어난 얘기다. 특정인을 얘기하지 말라”는 제지에 중단하기도 했다.

구상찬 서울강서갑 위원장은 “다음 총선에 수도권에서 반타작을 못 하면 대통령이 식물인간 되는 거나 마찬가지”라고 여권의 각성을 촉구했다. 그는 인요한 혁신위원장을 겨냥해 “이태원은 대통령이 가야 하고, 5·18은 당 지도부가 가야 한다”며 “혁신위원장은 이런데(원외위원장 모임) 와서 우리 아픈 이야기를 듣고 수도권의 어려운 얘기를 부딪쳐야 한다”고 말했다.

하 의원은 비공개 회의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원외위원장들이 만장일치로 합의한 게 있다. 국민의힘 전국 원외위원장 총회를 열어달라는 요구”라고 말했다. 그는 “현역 의원은 영남권이 많고, 거기보다 훨씬 강한 위기의식을 느끼는 게 원외위원장”이라며 “총회를 열어 원외위원장 얘기를 있는 그대로 당 지도부가 들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조미덥 기자 zorro@kyunghyang.com

▶ 독립언론 경향신문을 응원하신다면 KHANUP!
▶ 나만의 뉴스레터 만들어 보고 싶다면 지금이 기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