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 시민군 영어통역’ 인요한 “오월정신 헌법전문 수록에 최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주 5·18 민주묘지 찾아

한겨레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30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방문해 5·18 행방불명자 묘소에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광주 5·18 민주묘지를 찾아 오월 정신 헌법전문 수록이 관철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인 위원장은 30일 혁신위 첫 외부 공개일정으로 혁신위원들과 함께 광주 북구의 국립 5·18민주묘지를 참배한 뒤 이렇게 말했다.

황일봉 5·18부상자회 회장은 인 위원장을 만나 “5·18 정신 헌법수록과 5·18 민주유공자를 국가유공자로 승격시켜달라”고 건의했고, 인 위원장은 “꼭 관철되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혁신위는 5·18 관련 단체들과 이후 정식간담회도 열기로 했다.

인 위원장은 이날 참배에 앞서 방명록에는 “광주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완성해가고 있습니다”라고 적었다.

그는 참배 뒤 기자들과 만나 “앞으로 우리 자식들에게 광주의 의미를 잘 가르쳐서 앞으로 광주 피해자 가족, 돌아가신 분의 후손 등을 적극적으로 챙기겠다”며 “지방에서 지금까지 잘했지만, 이제 중앙에서 이분들 다 포용하고 어디든지 가서 자랑스럽게 자기 조상이나 어머니와 아버지를 자랑스럽게 얘기할 수 있는 그런 나라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대학교 1학년이던 1980년 광주에서 시민군의 영어 통역을 했던 인 위원장은 “두 가지 뚜렷한 기억이 남아 있다. 첫째는 ‘북쪽 향해서 지켜야 하는 총이 왜 남쪽으로 향하는지 모르겠다. 원통하다’는 것이었다. 두번째는 ‘우리를 공산주의자라 하는데 우리는 매일 애국가 부르고 매일 반공 구호 외치고 하루 일정 시작한다’는 시민군 대표 말씀이 오늘날까지 귀에서 쨍쨍 울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광주민주화운동은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데 큰 업적이었다. 기억 속에서 계속 남아있다. 유태인이 한 말을 빌리자면 용서는 하되 잊지 말자”고 했다.

광주/신민정 기자 shin@hani.co.kr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후원하기]
▶▶지구를 위해! [겨리와 함께 줍깅] 신청▶▶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