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인터넷은행 3사, 당국 눈치에 주택담보대출 증가세 둔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일러스트=손민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전문은행이 금융당국의 지적에 따라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올해 3분기(7∼9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잔액 증가세가 주춤했다.

30일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 3사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인터넷은행의 9월 말 기준 주담대(전월세 대출 포함) 잔액은 약 24조95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8월 말 잔액 23조3829억원보다 7125억원 늘어난 것이지만, 증가 폭이 지난 2월(3086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월간 증가 폭은 1월 606억원에서 6월 1조7505억원까지 확대됐다. 그러나 이후 7월(1조2909억원) 이후 8월(1조762억원), 9월(7125억원) 등 모두 전월보다 축소됐다.

은행별로 보면 인터넷은행 주담대 증가세를 견인했던 카카오뱅크의 증가세 둔화가 두드러졌다. 카카오뱅크의 9월 말 주담대 잔액은 19조8673억원으로, 8월 말 19조3174억원보다 5499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증가 폭이 8월(8667억원)보다 축소됐을 뿐 아니라, 6월(1조4818억원)과 비교하면 3개월 만에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케이뱅크 역시 주담대 잔액이 9월 한 달 새 1516억원 늘었다. 9월 증가 폭은 월간 증가 폭이 가장 컸던 4월(3240억원)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토스뱅크의 9월 말 주담대 잔액은 110억원으로 집계됐다. 토스뱅크는 지난달 5일 전월세보증금 대출을 출시했는데, 출시 한 달 취급액이 110억원인 셈이다.

인터넷은행 주담대 잔액이 올해 상반기 폭발적으로 늘었다가 3분기 들어 주춤한 것은 은행들이 금융당국 눈치에 대출 문턱을 높였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지난 8월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히면서 인터넷은행 주담대를 문제 삼은 데 이어, 지난달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현장점검을 진행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인터넷은행은 신파일러(금융거래 이력 부족자)에게 자금을 공급한다는 정책적 목적이 있는데, 지금과 같은 주담대 쏠림이 제도와 합치되는지에 대해 비판적 시각이 있다”면서 “이런 것도 점검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정민하 기자(mi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