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유가협, 참사 1주기 맞아 토론회 개최
"혐오표현, 진상규명만큼 중요하게 생각해야"
"정부가 나서서 체계적인 대응방안 마련하라"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혐오 차별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2023.10.27. sccho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홍연우 기자 = 오는 29일로 다가온 이태원 참사 1주기를 맞아 재난 피해자를 향한 혐오·차별 발언의 심각성과 정부·언론·시민사회단체 등의 역할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열렸다. 참석자들은 "지금이라도 정부가 나서서 혐오 표현에 대한 실질적이고 체계적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국가인권위원회와 10·29 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유가협) 등은 이날 오후 1시30분께부터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맞아 '혐오 차별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송두환 국가인권위원장, 이정민 유가협 운영위원장, 박래군 4·16 재단 상임이사와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을 포함 시민사회 활동가와 경찰 관계자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정민 유가협 운영위원장은 인사말에서 "(이태원 참사) 피해자와 희생자를 조롱하고 폄훼하는 사람들을 보며 또 하나의 사회적 참사를 몸으로 느꼈다"며 "우리 사회가 진상규명처럼 중요하게 생각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는 혐오 표현, 즉 2차 가해"라고 강조했다.
이태원 참사의 마지막 159번째 희생자 16세 이재현군의 어머니 송해진씨도 직접 발언에 나섰다. 참사 생존자였던 이군은 참사가 일어난 지 43일 후 "먼저 간 친구들이 그립다"는 유언을 남기고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송씨는 '경찰 병력을 미리 배치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발언, '참사 생존자인 재현군이 좀 더 굳건했으면 좋았을 것'이란 한덕수 국무총리의 발언 등을 언급하며 "책임회피를 위한 2차 가해성 발언들이 쉴 새 없이 쏟아져나왔고, 유가족과 피해자들은 혐오세력의 공격을 맨몸으로 받아내야만 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우리 사회가 재난 피해자를 향한 인권 침해에 방관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희생자와 생존자를 향한 혐오표현이 난무했던 그 당시 사회적 분위기는 생존자인 재현이 치료와 회복에 찬물을 끼얹기 충분했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혐오 차별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2023.10.27. sccho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피해자 중심 접근을 통한 혐오 표현 대응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이날 첫 번째 주제발표자로 나선 조인영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변호사는 "'피해자다움'을 강요하지 않도록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 재구성 및 관련 가이드라인 마련이 절실하다"고 했다. 아울러 "재난 대응 과정에서 피해자의 필요가 얼마나 고려됐고, 피해자의 참여가 제도적으로 보장됐는지가 중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나서서 ▲혐오 표현 관련 제재 입법 구축 ▲피해자에 대한 형사적·민사적·행정적 지원 체계 마련 ▲비법률적 지원 및 심리상담 등 직접 지원 등을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언경 미디어연구소 뭉클 소장은 지난 2014년 발생한 세월호 참사와 이태원 참사의 혐오표현을 비교·분석했다. 그는 과거와 비교해 노골적이고 직접적인 2차 가해는 줄어들었으나 재난 원인과 책임을 피해자에게 떠넘기는 방식으로 피해자의 권리를 왜곡·침해하는 표현들이 행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소장은 "2차 가해를 막기 위해서는 혐오 표현 관련 실태 조사 및 결과 발표와 혐오 표현 관련 교육 홍보 강화 등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ong15@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