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자살예방 상담전화번호' 내년부터 '109'로 단일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여러 곳에 흩어져 있던 자살 예방을 위한 신고·상담 전화번호가 내년 1월부터 '109'로 통합됩니다.

범죄신고 전화번호 112처럼 간단하고 기억하기 쉬운 '세 자릿수 통합번호'가 필요하다는 대통령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제언이 정부 정책에 반영된 사례입니다.

국민통합위와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23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을 통해 이러한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복지부는 자살예방 정책을, 과기정통부는 번호자원 정책을 주관하는 부처입니다.

그동안 자살 신고·상담 전화는 ▲ 자살예방상담전화 1393 ▲ 정신건강상담전화 1577-0199 ▲ 생명의전화 1588-9191 ▲ 청소년전화 1388 ▲ 청소년모바일상담 1661-5004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여성긴급전화 1366 ▲ 국방헬프콜 1303 등 기관별로 혼재돼 있었습니다.

국민통합위는 "자살예방 관련 상담번호가 여러 개로 분산돼 있어 긴박한 순간에 바로 떠올리기 어려웠다"며 "특히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의 인지도 및 응대율이 낮아 접근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고 소개했습니다.

통합위가 참고한 미국의 경우 정신건강 응급 전화번호를 '988'로 통합한 후 상담 응답률은 33% 개선됐으며 대기시간도 75% 단축됐다고 합니다.

새롭게 도입되는 '109'에는 '한 명의 생명도(1), 자살 제로(0), 구하자(9)'라는 의미가 담겼으며, '119'처럼 자살이 구조가 필요한 긴급 상황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게 국민통합위 설명입니다.

김한길 국민통합위 위원장은 "자살예방 상담 통합번호는 자살을 생각하는 혼돈과 고통의 과정에서 쉽게 떠올릴 수 있어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실효적인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 상담 통합번호가 조속한 시일 내 제대로 작동될 수 있도록 시스템 전환, 인력 확충 등 필요한 조치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새 번호 안내와 홍보에도 힘쓰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도 "자살예방 상담 통합번호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긴밀한 협의를 통해 사전에 번호 부여를 완료하고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내년 1월부터는 자살 관련 사건 기사에 삽입되는 '안내 문구'도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 109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로 변경됩니다.

(사진=국민통합위 제공, 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