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동결에도 시장 금리 상승
조달비용 증가로 대출 금리 인하 어려워
대출 당겨 받아...‘마통’ 잔액 석달새 1조↑
#. 연봉 5000만원, 신용점수 900점대 초중반의 30대 직장인 A씨는 지난 7월 1금융권에서 3000만원의 마이너스통장 대출을 받았다. 그가 수십 개 금융사를 비교한 뒤 적용받은 대출금리는 7.32%. 그마저도 최근 7.7%대까지 금리가 올랐다. A씨는 “신용대출을 처음 받아봤는데, 한 달에 20만원 가까운 금액이 이자로 나가니 부담이 크다”며 “다음달에도 금리 갱신 알림이 올텐데, 휴대전화를 보기가 두려운 수준”이라고 말했다. |
금리 오름세가 더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동결을 이어가고 있지만, 국제 금융시장의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연일 급등하면서 시장 금리가 이를 쫓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가계의 이자 부담도 더 커질 것으로 예고된다.
▶대출금리 상승세 지속...“신용 1등급도 연 8% 신용대출 받아”=4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은행들의 대출금리 산정 기준이 되는 은행채(5년, AAA) 금리는 4.517%(9월 26일 기준)로 올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불과 지난 5월까지만 해도 3.8%대에 머물렀던 것을 고려할 때, 빠른 속도의 상승세를 기록한 셈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은행권의 대출금리도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27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주요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신용등급 1등급 기준)는 연 4.00~6.44%로 8월 말(3.83~6.25)과 비교해 상·하단이 각각 약 0.2%포인트 가량 상승했다. 불과 지난주까지만 해도 5대 은행의 주담대 최저금리는 3%대를 유지했으나, 이번주 들어 결국 4%대로 올라섰다.
같은날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주요 신용대출 금리(신용등급 1등급 기준)도 연 4.56~6.56%로 지난 8월 말(4.42~6.25%)과 비교해 상·하단이 각각 0.31%포인트, 0.14%포인트 상승했다. 일부 지방은행과 인터넷은행 등에서는 신용등급 1등급 차주의 경우에도 최대 8%가 넘는 신용대출을 실행하는 사례가 생기고 있다. 같은 기간 신용대출 금리 산정 지표로 활용되는 은행채 1년물 금리가 3.9%에서 4.06%로 약 0.16%포인트 증가하는 등 상승 추이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은 지난 2월 이후 기준금리를 연 3.5%로 연속 동결했다. 하지만 국내 시장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미국 채권금리가 상승하며, 대출금리 또한 요동치고 있다. 실제 지난달 26일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4.54%로 거래를 마쳐, 2007년 10월 이후 1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과 함께 긴축 장기화를 시사하면서다.
▶조달비용 상승, 대출 금리 못 내려=국내 대출금리 또한 당분간 상승세가 예상된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현재 국내 시장금리가 많이 오른 상황이고, 이에 따라 상승폭은 다소 둔화할 가능성이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떨어지거나 횡보세를 보이긴 힘들다”며 “미국에서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국내 국고채 금리 등이 연동되며 금리 상승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조달비용이 높아진 것도 대출 금리를 밀어올리고 있다.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 이후 채권시장 경색 현상이 거세지며 은행들은 정기예금 등 수신금리를 올려 자금을 조달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은행권에서 취급된 1년 이상 2년 미만 정기예금 잔액과 여타 금융권의 수신잔액은 96조2504억원 늘어났다. 약 100조원 규모의 만기가 다가오며 은행들은 수신금리 인상 및 은행채 발행으로 대응에 나섰다. 원가(조달금리) 상승으로 인한 가격(대출금리) 인상은 피할 수 없다.
▶금리 오르기 전 미리...마통 잔액 3개월만 1조 늘어=대출 차주들은 이미 금리 상승을 염두에 두고 움직이기 시작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마이너스통장 잔액은 34조3251억원(9월 20일 기준)으로, 지난 6월 말(33조3248억원) 대비 1조3억원이나 늘었다.
4대 시중은행의 마이너스 통장 금리는 4.74~7.23%(9월 22일 기준) 수준이다. 지난 6월 6% 수준까지 떨어졌던 것과 달리 다시 7%대까지 치솟았지만,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를 수 있다는 불안감에 마이너스 통장 수요는 오히려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서울과 수도권 중심으로 집값이 다시 상승하며 주택 매수에 대비하는 이들도 늘고 있다”며 “주담대 LTV(주택담보대출비율)를 모두 충족하면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한도가 남는 일부 고소득자들을 중심으로 마이너스 통장이 인기”라고 설명했다. 마이너스통장은 대출을 쓰지 않더라도 한도만큼 DSR 규제에 반영되기 때문에 통장 한도를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는지 문의하는 이들도 늘고 있다는 전언이다.
현행 DSR 규제상 대출 금액이 1억원을 넘으면 1년간 갚는 원리금이 연소득의 40%를 넘어가게 대출을 받을 수 없는데, 연소득이 높은 고소득자를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과 마이너스통장을 모두 받아 주택 마련에 대비하는 이들이 늘어난 것이다.
실제 한 직장인 A씨는 커뮤니티를 통해 “DSR 조건이 모두 패스된다는 조건 하에 마통을 좀 더 받고싶다”며 “LTV를 최대로 주담대를 받을건데 연봉은 꽤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홍승희·김광우 기자
w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