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통계청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 중 취업자 비중이 약 36%에 달해 지난 10년간 6%포인트(p) 넘게 증가했다. 취업 고령자는 비취업 고령자보다 일상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받고 가족관계에서 만족감을 더 느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3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2022년 65세 이상 취업자 수는 326만5000명으로 65세 인구 중 취업자 수를 의미하는 고용률이 36.2%에 달했다.
고령자 고용률은 2012년 30.1%에서 지난해 36.2%로 10년 동안 6.1%p 상승했다. 2021년 기준으로 한국의 고령자 고용률은 34.9%인데 이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8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OECD 회원국의 고령자 평균 고용률 15%를 상회하는 국가는 한국을 포함해 일본·스웨덴 등 11개다.
지난해 기준 본인이 건강 상태가 좋다고 생각하는 취업 고령자는 37.5%로 비취업 고령자(21.9%)보다 15.6%p 높았다. 취업 고령자는 △아침 식사하기(92.9%) △적정 수면(86.5%) △정기 건강검진(93.1%) 실천율에서 비취업 고령자보다 전반적으로 높았다.
취업 고령자가 일상에서 스트레스를 느낀다는 비중은 34.4%로 비취업 고령자(36.4%)보다 2%p 낮았다. 또한 배우자·자녀와 관계 및 전반적 가족관계에서 비취업 고령자보다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취업 고령자 중 주관적 소득 수준이 여유 있다고 답한 비율은 10.2%에 달했다. 비취업 고령자(6.6%)보다 3.6%p 높다. 같은 해 기준 취업 고령자의 소득 및 소비 만족도는 각각 20.7%, 13.9%로 비취업 고령자보다 각각 7.8%p, 4.0%p 높았다.
2021년 취업 고령자의 77.4%는 자녀와 같이 살고 있지 않았다. 비취업 고령자(70.7%)보다 비중이 6.7%p 높았다. 같은 해 기준 취업 고령자 중 81.9%는 향후 자녀와 동거를 희망하지 않았는데 이는 비취업 고령자(72.9%)보다 9.0%p 높은 수준이다.
한편 2023년 고령자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8.4%인 950만명에 달했다. 고령자 비중은 계속 증가해 2025년에는 20.6%를 기록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고령자 비중은 2035년 30%, 2050년 40%에 달할 전망이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고령자 수를 의미하는 노년부양비는 2023년 26.1명이다. 2035년에는 48.6명, 2050년에는 78.6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세종=유선일 기자 jjsy83@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