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국회의원 이모저모

이상민 “가결했냐 부결했냐 색출, 더불어민주당이 공산당이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의원 168명 중 161명이 이재명 대표의 구속영장 탄원서를 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당내 ‘비명(비이재명)계’로 꼽히는 중진 이상민 의원이 “정치권에서 집단적으로 탄원서를 제출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이 대표 체포동의안 부결 당론을 반대했다가 이 대표의 강성지지층인 이른바 ‘개딸’들에게 욕설이 담긴 항의성 문자메시지를 받은 이 의원이 또 한 번 소신발언을 한셈이다.

이 의원은 26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를 통해 “이 대표에 대한 사법적 의혹에 대해 국민적 불신이 가중되고 있고 더불어민주당도 방탄정당이라는 오물을 뒤집어쓰고 있는 상황 속에서 재판의 결과에 대해서 승복을 하기 위해서라도 공정성을 유지하도록 협조를 해야 된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어 “사회적 약자에 대해서 탄원서를 제출하는 것이 아니고 유력정치인에 대한 탄원서를 제출하는 것이니만큼 담당하는 판사 입장에서는 상당한 심리적 압박이 있을 것”이라며 “재판의 공정이나 독립을 담보, 보장해 주기 위해서라도 사회, 특히 정당 정치세력들이 조금 더 자중하고 자제해야 된다”고 했다.

‘탄원서를 안 쓴 의원은 이 대표의 체포동의안에 가결한 의원이며, 이는 해당행위’라는 식의 당내 여론이 부담되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부담될 게 뭐가 있나”라고 했다.

이 의원은 “제가 더불어민주당의 소속 의원이기도 하지만 국민의 대표기관으로서 헌법기관이기도 하다”며 “국민의 기준에서 국민의 이익을 위하여, 또 국가와 국민적 상식 기준에 맞춰서 의정활동을 해야지 민심과 동떨어진 몰상식하고 반상식적인 행동을 해서야 되겠나”고 반문했다.

이어 “더구나 더불어민주당은 민주주의를 가장 근본가치로 여기는 당”이라며 “그런 당에서 국회법상 비밀 무기명 투표로 돼 있는 걸 ‘너는 가결했냐 부결했냐’ 압박하고 색출하는 몰상식한 행태가 있는 것은 말이 안된다. 더불어민주당이 공산당이냐”고 했다. 그러면서 현재 벌어지고 있는 이른바 ‘가결표 색출’에 대해 “민주주의 교육을 받아야 될 사람들이 대거 더불어민주당에 들어와서 오염시키고 있는 것”이라며 “더구나 탄원서를 안 낸 의원들이 곧바로 가결했냐 하는 것도 말이 되나. 그 둘은 별개”라고 덧붙였다.

앞서 이 의원은 개딸을 자처하는 이들로부터 응원문자를 가장한 욕설 문자를 받았다. 문자 내용은 “이상민님 응원해요♡/ 개딸은 무시해요!/ 새로 창당해도/ 기다려줄 수 있습니다/ 야권의 희망이십니다”였다. 이에 이 의원이 “감사하다”고 답장을 보내자 해당 문자 발신자는 “세로로 읽어보세요”라고 답했다. 문자 각 행의 첫글자를 세로로 읽으면 ‘이 XXX야’라는 욕설이 된다.

이 의원은 ‘스스로를 해당행위자로 보느냐’는 질문에 “제가 무슨 해당행위자냐”며 “당의 근본 가치를 지키고 당이 지향하는 민주주의와 인권을 앞장서서 하려고 하는 사람”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지금 색출이니 또는 해당행위라고 몰아치는 일부 지도부의 그런 언동이 해당행위”라며 “반민주적 행동을 국민들한테 아주 그냥 확성기를 틀어서 얘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들이 볼 때 색출해야 한다, 해당행위다, 상응하는 조치를 해야 된다고 목소리 높이는 지도부 혹은 몇몇 의원들에 대해서 과연 당에 대한 신뢰와 지지를 보낼 수 있겠는가”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 대표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하루 앞둔 지난 25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탄원서가 전달됐다. 탄원서에는 정세균·문희상·임채정·김원기 등 전직 국회의장 4명과 민주당 국회의원 161명이 참여했다. 현재 민주당 의원 수는 총 168명이다. 또 민주당 당직자 175명, 보좌진 428명, 당 취합 온라인 44만5천677명, 시·도당별 취합 6만5천985명, 더민주혁신회의 서명운동 참여 38만1천675명 등도 이름을 올렸다.

[김자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