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오마카세·호캉스 즐기는 MZ…50만원도 못 갚고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터넷전문銀 비상금 대출 연체 200억

연체액 중 70%는 2030세대가 빌려가

금리 인상으로 연체금은 계속 증가 중

인터넷전문은행의 비상금대출 연체금이 2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금액의 70%는 20·30세대가 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카카오뱅크·토스뱅크·케이뱅크 등 인터넷 은행 3개 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인터넷 은행 3사의 비상금대출 연체 잔액은 200억원이었다. 연체 잔액 가운데 69.9%(139억원)를 20·30세대가 빌려 간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가 되는 것은 최근 금리 인상으로 인해 연체금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2020년부터 비상금 대출을 판매한 카카오뱅크는 3년 만에 연체액이 25억원에서 175억원으로 7배 가까이 증가했다. 토스뱅크와 케이뱅크의 비상금대출 연체액은 각각 12억원, 13억원이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말 연체액이 카카오뱅크 98억 8800만원, 케이뱅크 5억 4700만원, 토스뱅크 4억 8800만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8개월 사이 두 배 가까이 많아진 셈이다.

연령별로 보면 20·30세대가 모두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카카오뱅크 175억원 중 123억원(71%), 토스뱅크 12억원 중 8억 5500만원(71%), 케이뱅크 13억원 중 7억 8200만원(60%) 등이다.

인터넷은행 3사의 비상금대출 전체 잔액은 2조 6603원이었다. 이 가운데 카카오뱅크의 비율이 86.7%(2조 3069억원)로 가장 높았다. 토스뱅크와 케이뱅크의 잔액은 각각 1908억원, 1625억원이었다.

인터넷은행은 50만원에서 300만원까지 빌릴 수 있는 비상금대출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서울보증보험을 통한 일종의 보증 보험 방식이기 때문에 이 보증서를 받을 수 있는 개인은 대출을 받을 수 있다.

대출 문턱이 낮은 만큼 20·30세대, 주부 등 신용 이력이 적은 신 파일러들이 주로 찾는다. 또 인터넷은행의 공격적인 마케팅과 더불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점 때문에 비상금대출을 찾는 고객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비상금대출은 서류 제출과 심사를 간단히 하는 방식으로 대출을 집행하다 보니 비상금대출 금리는 높은 편이다. 13일 기준 금리는 카카오뱅크 연 4.795~15.00%, 토스뱅크 연 6.24~15.00%, 케이뱅크 연 6.01~15.00%이다. 추가로 연체한 경우 대출한 금리에 3%가 더 붙는다.

윤 의원은 "손쉬운 대출에 사회 초년생들의 연체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하다"면서도 "한편으로는 고금리·고물가에 경기침체까지 우려되는 만큼 정부 차원에서 정교하고 선별적인 금융지원정책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구나리 인턴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