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홍범도 흉상 이전·이념 강조에 보수 이완 가능성"
민주당에 반사이익 될지는 물음표
김기현(왼쪽 사진)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6일 국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교원단체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내년 4월 총선에서 야당 후보를 찍겠다는 보수 성향 응답자 비율이 반년 만에 8%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논란 등 정부·여당의 이념 강조 행보가 보수 일각의 반발을 초래해 진영 내 결집이 느슨해진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보수층 정부 견제론 비율 8%p 올라
한국갤럽이 매월 실시하는 총선 결과 기대 조사에서 '정부 견제를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고 답변한 보수층 비율은 늘어나는 추세이다. 올해 첫 조사인 3월 조사에서 자신을 보수라고 생각하는 응답자 가운데 이 같은 '정부 견제론'에 동의하는 답변은 18%에 머물렀다.
하지만 지난 5~7일 실시된 9월 조사에서는 26%로 치솟았다. 오차 범위(±3.1%포인트)를 벗어나는 수치다. 보수 유권자 4명 중 1명 넘게 내년 총선에서 이탈표를 행사할 수 있다는 뜻이다. 반면 보수층에서 '정부 지원을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줄어들고 있다. 3월 73%에서 9월 67%로 감소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진보와 중도는 각 진영에 대한 총선 결과 기대치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3월과 9월 조사를 살펴보면 진보 응답자의 정부 지원론은 12%→14%, 정부 견제론은 78%→78%로 엇비슷했다. 같은 기간 중도 응답자 역시 정부 지원론 35%→31%, 정부 견제론 53%→55%로 변동폭이 크지 않았다.
보수층의 내년 총선 결과 기대. 그래픽=김대훈 부장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문가 "홍범도 흉상 이전·이념 강조에 보수 이완 가능성"
이처럼 보수층의 결집이 약화된 원인으로는 최근 여권이 주도한 역사·이념 드라이브가 꼽힌다. 다양한 스펙트럼의 범보수 가운데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에 반대하거나, 이념보다 실용을 중시하는 사람들이 정부·여당에 실망감을 느꼈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 군 당국이 홍 장군 흉상 이전을 추진하자 보수 원로인 이종찬 광복회장과 김을동 전 새누리당 의원 등이 격렬히 반대하고 나섰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소장은 10일 본보 통화에서 "뉴라이트 역사관 논란이나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 대한 항명 혐의 수사 등 보수 내 분열을 부를 수 있는 이슈가 부각된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정부·여당이 이념 문제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데 일부 보수층이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면서도 "선거를 앞두고 늘상 있는 출렁임이기 때문에 국면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고 해석했다.
육군사관학교에 설치된 홍범도 장군 흉상. 육사는 지난달 31일 육사의 정체성과 독립투사로서의 예우를 동시에 고려해 홍 장군 흉상을 이전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민주당에 반사이익 될지는 물음표
보수층의 균열 조짐이 더불어민주당에 반사 이익을 안길지는 아직 미지수다. 이탈층에게 제3지대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 등 다른 선택지도 있기 때문이다.
한국갤럽은 8일 '내년 총선 비례대표 정당 투표에서 어느 정당을 찍겠느냐'는 여론조사 결과를 함께 발표했다. 두루뭉술하게 '야당 후보 지지'를 뜻하는 정부 견제론과 달리 내년 총선에서 지지할 정당을 특정해서 물었다.
그 결과 보수층 가운데 '민주당 후보를 찍겠다'는 비율은 18%에 그쳤다. 보수가 정부 견제론에 26% 동의한 것에 비해 8%포인트 낮은 수치다. 배종찬 소장은 "정부·여당에 실망한 보수층을 흡수하지 못하는 민주당의 확장성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성택 기자 highnoon@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