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배달앱 대항마 '공공 배달앱' 이용률 저조로 서비스 종료 잇따라
“수수료가 저렴하면 뭐합니까. 찾는 고객이 없는데.”
민간 배달 플랫폼의 대항마로 나섰던 공공 배달 플랫폼(이하 공공배달앱)들이 무너지고 있다. 저렴한 수수료와 배달료에도 소비자들과 점주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며 이용률 저조로 서비스를 중단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착한 배달앱’으로 이름을 알렸던 각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배달앱들이 서비스 종료 소식을 알려오고 있다.
올해만 해도 경남 최초 ‘독립 배달앱’인 거제 공공배달앱을 비롯해 △전남 여수 ‘씽씽여수’ △대전 ‘부르심’ △천안 ‘배달이지’ △경남 진주 통영시 ‘띵동’ 등이 줄줄이 서비스가 종료됐다.
공공배달앱은 수수료 부담을 덜어준다는 명목으로 지난 2020년부터 도입되기 시작했다. 민간 배달앱인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는 중개수수료가 각 6.7%, 12.5%, 9.8%인 반면 공공배달앱은 중개수수료가 건당 2%로 가맹점 부담이 낮다.
공공배달앱이 외면받는 대표적인 이유는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라는 점이다. 민간 플랫폼은 소비자 중심의 민간 배달 플랫폼과 달리 공공배달앱은 처음부터 자영업자들의 수수료 감면을 목적으로 출시돼 모든 서비스의 초점이 점주들에게만 맞춰져 있다.
소비자 니즈를 외면한 공공배달앱은 결국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지 못했고, 소비자가 찾지 않는 서비스로 전락해 점주들도 점차 외면하기 시작했다.
대구에서 배달전문 음식점을 운영하는 이모씨(54)는 “수수료 감면을 위해 공공배달앱을 선택했지만, 지역화폐나 할인쿠폰 이벤트가 있을 때만 잠깐 이용자가 늘다만다”며 “평소에는 찾는 고객도 많이 없어 배달의민족과, 요기요만 주문창을 열어놓고 일할 때도 많다”고 말했다.
공공 배달 플랫폼 서비스가 일반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은 것도 사용을 꺼리는 이유 중 하나다. 점주들 대부분이 공공 배달 플랫폼의 UI(사용자인터페이스)·UX(사용자경험)가 일관성이 없고 최적화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경기도서 떡볶이집을 운영하는 김모씨(35)는 “뭐라도 좀 아껴볼까 하는 마음에 공공 배달앱을 이용해 봤지만, 민간 앱보다 점주들이 신경 써야 할 것들이 너무 많다”며 “점주들이 봐도 이렇게 별로인데, 소비자들은 찾고 싶겠냐”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정부 주도의 공공 배달 플랫폼 운영방식을 전편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성훈 세종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공공배달앱은 출발부터 단추를 잘못 끼웠다.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가 조성이 되도록 해야 하는데 정부가 개입해 수요자와 공급자들의 자유로운 시장 거래 분위기를 침해했다”며 “과도한 독과점이나, 수수료 문제 등에서 정부는 심판의 역할만 해줘도 충분하다. 법과 제도를 위반했을 시에만 통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이 교수는 “민간 배달앱은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그 중심에 소비자가 있다”며 “그러다 보니 수익이 나고, 그 수익이 다시 소비자 혜택으로 돌아가고 선순환 구조를 띄고 있지만, 공공배달앱은 수익도 없이 세금에만 의존해 운영하다 보니 결국 무너질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아주경제=이나경 기자 nakk@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