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6G 주도권 전쟁

4400억 규모 6G 산업기술개발사업 예타 통과…6G시대 선점 '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6년 Pre-6G 기술 시연, 6G 국제표준특허 점유율 30% 달성 목표

[아이뉴스24 이영웅 기자] 총 4400억원 규모 차세대 네트워크 6G 산업 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정부는 오는 2024년께 관련 상용화기술 및 부품개발을 본격화하고 2026년 Pre-6G 기술시연으로 시장 선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서울중앙우체국에서 개최된 2023년 제10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차세대 네트워크(6G) 산업 기술개발사업이 총 4,407억원 규모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고 밝혔다.

아이뉴스24

6G 관련 기술 [사진=과기정통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2024년부터 6G 상용화기술 및 핵심부품 개발을 본격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표준에 반영해 2026년 Pre-6G 기술 시연, 6G 국제표준특허 30% 확보 등 우리나라가 차세대 네트워크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한다.

최근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으로 인해 미국·중국 등 주요국의 6G 기술개발 투자가 확대됐을 뿐 아니라 신규 6G 후보주파수대역 발굴 및 가속화·개방화로의 네트워크 패러다임 전환 등 6G 기술 추세도 급변하고 있다.

정부도 이에 대응해 △Upper-mid 대역(7~24GHz) 기술 △커버리지 확대 기술 △소프트웨어(SW) 중심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공급망 안보 강화 등 5대 분야에 대해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먼저 5G에서 3.5GHz 용량 한계와 28GHz의 커버리지 한계를 극복하는 Upper-mid 대역(7~24GHz) 기술을 개발한다. 최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와 퀄컴, 에릭슨, 노키아 등 세계적인 통신장비 제조사가 6G 후보주파수 대역으로 해당 주파수 대역을 주목하고 있어 이 대역대 부품 개발을 추진한다.

아이뉴스24

[사진=과기정통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높은 주파수 활용에 따라 발생하는 커버리지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수동형 중계 기술을 토대로 한 현재 기지국은 주변 고정된 범위의 지상 위주 통신만 가능해 음영지역이 발생하고 있다. 6G에서는 능동형 중계 기술을 활용해 넓은 범위까지 통신이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아울러 하드웨어(HW) 중심에서 클라우드·SW로 전환되는 네트워크 변화에 대응해 SW 중심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한다. SW화가 일부 진행된 5G 모바일 코어 기능을 유연성·고가용성·고성능을 갖춘 클라우드 기반 모바일 코어망 SW(Cloud-Native 기술)로 발전시켜 나간다.

이 밖에도 전세계적인 탄소중립 선언 및 주요국의 6G 에너지 절감 기술개발과 연계해 더 높은 성능을 지원하면서 에너지도 절감하는 기술개발과 함께 기지국, 단말, 광통신 등의 핵심부품을 국내 기술로 개발해 통신장비·부품의 공급망을 강화하기로 했다.

홍진배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이번 예타 통과를 계기로 6G 연구개발 투자 확대, 2026년 Pre-6G 기술 시연 등 차질없이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치열한 글로벌 네트워크 기술패권 경쟁을 민첩하게 대응해 세계 최고 디지털 인프라 강국으로서 한발 더 앞서 나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웅 기자(hero@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