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헬로비전이 첫 외산 폴더블폰인 모토로라 폰 '레이저40 울트라'를 8월 국내 독점 출시할 계획이다. 레이저40 울트라는 갤럭시 Z 플립5의 디자인과 유사한데, LG헬로비전이 이번에 첫 국내 판매에 나서는 모토로라 폴더블폰이 국내서 성공하게 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가 플립·폴드5를 이동통신 3사를 통해 적극 판매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8월에 국내 시장서 '폴더블폰 대전'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외산 폴더블폰이 알뜰폰 업체를 통해 국내 보급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지금까지는 자급제를 통해 판매된 것이 전부였다. 모토로라는 그동안 바(막대) 형의 스마트폰 판매에만 집중해왔으나 올해부터 폴더블폰을 내놓고 당당히 프리미엄 시장 도전에 나섰다. 모토로라는 지난해 국내 시장에 9년 만에 다시 돌아와 화제가 되기도 했다.
LG헬로비전 관계자는 "아직 정확한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레이저40 울트라를 이달 중 출시할 계획"이라며 "이전에도 모토로라 프리미엄급 중저가폰을 국내 독점 출시한 바 있는데 이번에는 폴더블폰을 국내 독점판매하게 됐다"고 밝혔다.
LG헬로비전이 지금까지 국내 시장에 단독으로 출시한 모토로라 제품은 '엣지 20 라이트 5G'와 '모토 G50 5G', '엣지30 5G', '모토 G82 5G' 등 4종이었다.
LG헬로비전 관계자는 "국내에 출시한 모토로라 4종 중 '엣지30'은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 입소문이 돌면서 초기 물량이 조기 소진되고, 후속물량을 재출시했을 정도로 반응이 좋았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출시되는 모토로라 레이저40 울트라는 이미 국립전파연구원의 전파인증까지 완료된 상태다.
6월 초 해외에서 먼저 공개된 레이저40 울트라는 갤럭시 Z 플립5와 유사한 클램셀(조개껍데리) 모양으로, 플립5보다 앞선 대형 디스플레이 탑재모델로 큰 관심을 모았다. 외부화면은 3.6인치로 삼성전자 플립4의 3.4인치에 비해 더 크다. 하지만 레이저40 울트라 외부 화면은 카메라 부위를 펀치홀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설계돼 실제로 사용 가능한 면적만 따져보면 플립5와 유사한 것으로 평가된다. 184g의 무게로 플립5의 무게가 187g이기 때문에 더 가볍다. 접었을 때 최저 두께는 플립5와 15.1mm로 똑같다.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담당하게 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스냅드래곤8 플러스 1세대 제품이다. 갤럭시 플립4에 들어간 것과 같은 칩셋을 사용했다. 전체적인 성능은 갤럭시 플립5와 유사한 수준으로 기대된다.
국내에서 레이저40 울트라가 많이 팔리기 위해서는 가격이 관건이다. 유럽에서는 169만원(1200유로)에 판매되는데 이는 갤럭시 플립5가 1199유로에 판매되는 것과 비교하면 1유로가 더 비싸다.
하지만 모토로라 폰을 알뜰폰 업계에서 독점 출시하기 때문에 알뜰폰 요금제가 적용돼 갤럭시 플립5와 비교해 가격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LG헬로비전은 "모토로라 폰은 이번 단말기 자체가 프리미엄 플래그십 모델이라 해외에서도 출고가가 비싸게 형성된 것 같다"며 "아직 출고가나 지원금 규모가 결정되지 않았지만 알뜰폰 요금제와 결합해 가성비 있는 가격에 선보일 예정이어서 가격 자체는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LG헬로비전은 국내에서 모토로라 폴더블폰 판매가 상당한 호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했다. 회사 관계자는 "모토로라 신형 폰 스펙이 뛰어난 편이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판매할 예정이라 합리적인 소비자들이 크게 관심을 가질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폴더블폰 출하량은 크게 증가해 폴더블폰이 인기를 얻는 반면, 스마트폰 전체 출하량은 오히려 감소하는 추세다.
시장조사업체인 IDC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폴더블폰 출하량은 2200만대로 전년 대비 50%가 늘었지만, 스마트폰 출하량은 11억 9280만대로 오히려 지난해 대비 1.1%가 줄었다.
하지만 국내 시장은 '외산 폰의 무덤'으로 불리고 있어 국내서 외산 폴더블폰 판매가 기대 만큼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도 나온다. 반면, 지난해 LG헬로비전이 이미 모토로라 제품을 30만원~50만원대에 판매해 일부 제품은 순항한 만큼 기대를 걸 수 있다는 평가도 제기된다.
외산 스마트폰은 아직 미미한 1% 대 비중이기는 하지만 지난해에도 해외 스마트폰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지난해 1분기에 1% 점유율을 기록하던 스마트폰의 점유율은 2분기에는 2%, 3분기와 4분기에는 3%로 점차 확대됐다.
사후관리(A/S)가 불편한 것도 외산 스마트폰의 단점인 데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지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해 모토로라가 국내 출시될 때에는 전국 레노버 AS 센터를 통해 2년 무상 수리를 전면에 내세운 바 있다. 이 같은 정책이 폴더블폰에도 적용될 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대해 LG헬로비전 관계자는 "지난해 내놓은 4종의 모델에 대해서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무상 AS를 2년간 지원했다. 하지만 폴더블폰에도 이 정책을 적용할 지에 대해서는 아직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