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국회의원 이모저모

친명·비명 간 '혁신안 진통'에... 이재명 "충분히 시간 두고 여론수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도부도 이견 "기득권자 저항" vs "시급성 없어"
친명 주도 당원 5만 청원에 원외위원장도 힘 싣기
한국일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얼굴을 만지고 있다. 고영권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대표·최고위원 선거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투표권을 '1인 1표'로 통일하는 내용을 담은 더불어민주당의 혁신안을 두고 진통이 이어지고 있다. 강성 지지자들이 주도하고 있는 '혁신안 이행' 청원이 4일 만에 지도부 답변 기준인 5만 명 이상 동의를 얻은 가운데, 지도부조차 계파에 따라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는 탓이다.

이재명 대표는 14일 혁신안 수용 여부와 관련해 "당내 다양한 의견이 있기 때문에 충분히 시간을 두고 여론 수렴을 해 나가겠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변화에 대해서는 언제나 여러 가지 논쟁들이 있기 마련이다.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받아들여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혁신안을 두고 지도부에서부터 계파 간 이견이 분출하는 가운데, 이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가 수용 여부를 당장 결론 내리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지도부조차 의견이 갈리면서 오는 16일 의원총회에서 격론을 예고하고 있다. 원내 지도부가 의총에서 이와 관련한 안건을 별도로 상정한 것은 아니지만 대의원제 축소에 반대하는 비명계 의원들이 자유발언을 통해 강하게 문제를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대의원제 폐지나 축소를 주장하는 친명계 의원들은 혁신안 수용을 주장할 가능성이 크다.

친명계인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인 평등선거, 1인 1표제가 민주당에서는 적용되면 안 되는 거냐"며 "대의원의 특권은 결국 국회의원과 지역위원장의 특권인데, 더 많은 기득권을 가진 국회의원들이 저항해서야 되겠느냐"고 말했다. 친명계인 박찬대 최고위원도 "혁신의 핵심은 기득권을 내려놓는 것"이라며 "현역 의원들부터 기득권을 내려놓을 때 당원들의 지지도 국민의 신뢰도 회복할 수 있다"고 가세했다.

혁신안 제안 다음날인 지난 11일 최고위에서 비명계인 고민정 최고위원이 "대의원제 폐지는 오로지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할 때만 적용되는데, 내년 총선 끝나고 해야 할 일을 굳이 지금으로 당겨야 할 시급성이 무엇이냐"며 공개 반발한 것과 결을 달리하는 발언이다. 박광온 원내대표도 기자간담회를 통해 "대의원제는 전국정당의 가치를 지키는 중요한 제도"라며 대의원제 축소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힌 바 있다.
한국일보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최고위원과 김현정 전국원외위원장협의회장 등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혁신안을 적극 환영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의원을 다수 확보하고 있는 현역의원들과 달리 원내 진출을 노리는 원외인사들은 혁신안 수용을 요구하고 있다. 원외 지역위원장들은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민주당 당원에게 60분의 1, 100분의 1표를 부여하는 것은 어떤 이유로도 합리화될 수 없는 낡은 제도의 산물"이라며 "지역구 국회의원과 원외 지역위원장의 운영상 편의를 위해 진정한 민주정당 실현을 유보해 온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비명계인 이상민 의원은 KBS 라디오에서 "이 대표가 당권을 잡은 상황에서는 그에 맹종하는 그룹이 있지 않나"라고 말했다. 강성 당원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친명계가 이번 혁신안을 이 대표 이후에도 당권을 계속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보고 있는 것이다.

박세인 기자 sane@hankookilbo.com
허유하 인턴기자 heoyouha99@ewhain.net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