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항공사들의 엇갈리는 희비

'파업 대신 상생'...아시아나항공 조종사노조, 임협 82.2% 찬성 가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지난달 7일 오후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아시아나항공조종사노동조합(APU) 쟁의 대책위원회 발족 기자회견에서 APU 최도성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아시아나항공 조종사노조가 지난 2019~2022년 4개년 임금 협상을 찬성으로 마무리했다. 향후 노사 대표 교섭에서 상호 서명을 하면 협상은 종료된다.

7일 아시아나항공 조종사노조는 임금 협상 잠정합의안 조합원 찬반 투표에서 82.2%의 찬성률로 가결됐다고 밝혔다. 투표권자 총 1127명 가운데 998명이 투표했으며 찬성은 82.2%(820표), 반대는 17.8%(178표)다. 이번 투표는 7월 31~8월 7일 오전 9시까지 전자선거투표시스템으로 이뤄졌다.

임협이 찬성으로 마무리됨에 따라 노사간 갈등 상황은 일단락될 전망이다. 앞서 조종사노조는 6월 7일 쟁의대책위원회 발대식을 열고 준법투쟁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7월 중순에는 2차 쟁의행위에 돌입하며 집단행동 수위를 높였고 24일부터 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예고했다. 2차 쟁의행위에서는 항공기 이·착륙 시 연료를 최대한 많이 사용해 사측의 경제적 손실을 높이겠다는 게 핵심이었다.

이에 아시아나항공 사측은 6월부터 ‘아시아나항공 조종사노조(APU) 쟁의행위 대응 테스크포스(TF)’를 운영했다. 원유석 대표이사가 태스크포스 팀장을 맡았고 총 규모는 임원, 조직장 등 63명이었다.

이후 7월 19일 오전까지 이어진 회의에서 합의가 급물살을 탔고 지난해 기본급·비행 수당 인상률을 2.5%로 정하는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 아시아나항공 조종사노조도 이날부터 모든 쟁의행위를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이번 합의 주요 세부사항은 △기본급 초호봉 2.5% 인상 △비행수당 2.5% 인상 △인전장려금 명목 기본급의 50% 일회성 지급 △중소형기 비행수당 단가 대형기 비행수당 단가로 일원화 등이다.

최도성 아시아나항공 조종사노조 위원장은 "몇 가지 문구가 수정될 가능성도 있지만, 이후 노사 대표교섭에서 상호 서명하면 임협은 완료된다"고 설명했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노사가 화합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 준 모든 조종사 노조 조합원들에게 감사하다"며 "지난 쟁의행위로 인해 불편을 겪은 고객들께 죄송하며, 앞으로도 상생의 노사 문화를 만들고 함께 성장하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 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