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물가와 GDP

국내 식품산업 100조 고물가 여파 큰폭 성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국내 식품산업의 생산실적(제조사 매출)이 처음으로 10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12.7% 늘어난 규모로 지난 5년간(2017~2021년)의 연평균 성장률(5.5%)을 2배 이상 웃도는 수준이다. 최근 국내 식품산업은 업체 수 증가, 품목 다양화 등으로 꾸준한 성장을 이어왔는데 여기에 지난해 본격화한 물가 인상 효과까지 더해져 큰 폭으로 확대된 것이다. 이로써 식품산업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5%를 넘보게 됐다.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을 발표했다. 지난해 국내 식품산업의 생산액은 총 105조110억원으로 이는 GDP의 4.9%에 해당한다. GDP에서 식품산업 비중은 2020년 4.4%에서 2021년 4.5%로 0.1%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지난해에는 4.9%까지 뛰었다. 제조업 분야 GDP만 놓고 보면 식품산업 비중은 2020년 17.6%, 2021년 17.8%에서 지난해 19.1%로 단숨에 올라섰다.

국내 식품산업이 지난해 더 높은 성장률을 보인 것은 전 세계적인 고물가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 지난해 음식료품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8.9% 증가해 최근 5년 연평균 증가율(1.6%)보다 더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 생산자가 국내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종합한 지수다. 즉, 식품 제조사들이 식품 원·부재료비와 인건비 등 제반 비용 상승으로 출고가를 인상한게 생산액 증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뜻이다.

이 같은 효과는 대부분의 원재료를 수입하는 가공식품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원료 수급 불안정으로 지난해 밀가루와 식물성유지류의 생산단가가 각각 43.6%, 33.3% 증가한 것이 라면, 빵 등 전반적인 가공식품의 출고가 인상으로 이어졌다. 다만 가정간편식(4조4616억원), 탄산음료(1조9394억원) 등 소비 트렌드 변화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품목들도 가공식품의 생산액 증대에 일조했다는 설명이다. 일례로 외식물가 상승 영향으로 수요가 늘어난 가정간편식의 생산액은 전년 대비 14.1% 증가했고, 특히 간편조리세트(밀키트)의 경우 전년 대비 무려 228.3%나 늘었다.

[송경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