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진료 80~90% 회복했으나 환자 민원 속출
교수협 "수많은 환자들 적절한 치료 받지 못해 고통"
보건의료노조가 처우개선, 공공의료 확충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한 지난 13일 오후 부산 서구 부산대병원 일반병동 병실이 텅 비어 있다. 2023.7.13/뉴스1 ⓒ News1 윤일지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부산=뉴스1) 조아서 기자 = 부산대병원 보건의료노조 파업이 일주일째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 18일 총파업 후 실시한 두 번째 교섭 역시 서로의 입장 차이만을 확인한 채 1시간 만에 결렬됐다.
양측은 19일 3차 교섭에 임할 예정이다.
부산대병원과 보건의료노조 부산대병원지부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30분부터 진행된 2차 교섭은 절충안을 찾지 못하고 마무리됐다. 실무교섭으로 진행된 두 번째 교섭에는 노사대표자인 부산대·양산부산대 병원장과 노조 지부장를 제외한 실무자들이 참석했다.
양측은 노조가 요구한 5가지 안에 대해 어떠한 합의점도 도출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 측은 △165명 인력충원 △불법 의료 근절 △자동 승진제 개선 △비정규직 직접 고용 전환 △임금 등 처우 개선 5가지를 촉구하고 있다.
문미철 보건의료노조 부산대병원지부장은 "전국보건의료노조의 요구이자 이번 사태의 핵심인 불법의료 문제 근절에 대해 공감대가 부족해 대화 진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병원의 간호사 90% 이상이 파업에 참여한 이유가 현장에서 심각성을 느끼고 있기 때문인데 병원 측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파업의 쟁점으로 떠오르는 부산대병원 비정규직 직접 고용 사안에 대해서는 양측 모두 파업 전과 같은 입장을 보이며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노조 측은 "병원 측에서는 이번 파업을 마무리하고 비정규직 관련 논의를 하자고 하지만, 5~6년째 기다려온 입장에서는 이같은 제안에 진정성을 느낄 수 없다"고 꼬집었다.
병원 측 역시 "총인건비 등 기존 직원 피해가 적고, 당사자(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전환 방식을 결정하라는 정부 지침에 맞게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화를 하자고 했지만 직고용 외에는 '제2의 용역'이라고 하니 대화의 진전이 없다"고 설명했다.
부산대병원 교수협의회가 부산대병원 곳곳에 대자보를 붙이고 '병원의 조속한 정상화'를 촉구하고 있다.(독자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처럼 노사가 서로의 뜻을 굽히지 않은 채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의료진 부족으로 인한 불편은 환자들과 현장을 지키고 있는 의료 인력에게 돌아가고 있다.
부산대병원에 따르면 전국 총파업기간인 13~14일 평소의 절반 수준인 2000여건으로 줄어들었던 외래진료는 17~18일 기준 일평균 3900~4000건으로 회복했다. 하지만 신규 인원환자는 여전히 받지 않고 있다.
지난 13일부터 병원에 공식적으로 접수된 민원은 150건에 달한다.
부산대병원 관계자는 "평소 하루 4500건이던 외래진료 건수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현장에 있는 의사 등 의료 인력이 고군분투해 80~90%까지 외래진료를 수용하고 있다"면서도 "현장, 예약 센터를 통한 민원은 수시로 발생해 시민 불편 민원은 실제로 150건 보다 많다"고 말했다.
이에 부산대병원 교수협의회는 대자보를 통해 "수많은 환자분들이 수술, 시술 및 항암 치료 등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해 기다리고 있다"며 "비노조원들과 필수인력은 환자들을 위한 최소한의 안전망을 지키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이어 "부산대병원은 동남권 환자들의 최후의 보루와 같은 곳이며 선천성 기형, 암, 희귀 질환 등의 어려운 질병으로 고통받는 분들의 희망"이라면서 "하루 속히 자신의 자리로 돌아와서 진료와 치료를 간절하게 기다리는 환자분들을 위해 최선을 다해달라"고 촉구했다.
ase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