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개 관련주 2개월간 우상향
한일 양국이 ‘화이트리스트(수출 심사 우대국)’를 4년 전 통상 마찰 이전 상태로 완전히 복원한 가운데, 우려와 달리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의 주가는 흔들리지 않고 있다. 일본산(産) 소부장에 대한 국산화 노력이 성과를 보였던 만큼, 단기적으로 타격이 예상보다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8일 헤럴드경제가 27개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소부장 관련주의 지난 2개월간(4월 28일~6월 27일) 주가 변동폭을 분석한 결과 평균 12.54%의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화이트리스트에 한국을 재지정한다는 방침을 밝힌 뒤 두 달여 만에 관련 절차를 마무리한 시점까지 주가는 오히려 우상향 곡선을 그린 것이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웨이퍼 식각장비 국산화에 성공한 ‘에이피티씨’의 주가는 이 기간 50% 상승했고, 국내 유일 포토레지스트 생산사 ‘동진쎄미켐’의 주가도 31.58% 올랐다. 이밖에 반도체 제조용 진공펌프 제조사 ‘엘오티베큠(12.48%)’, 글로벌 1위 폴리이미드(PI) 기업으로 거듭난 ‘PI첨단소재(18.53%)’, 고순도 불화수소 국산화에 성공한 ‘솔브레인(14.61%)’,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기 제작사 ‘원익IPS(7.72%)’·‘주성엔지니어링(14.70%)’ 등의 주가도 상승세를 탔다.
테이팩스(-9.73%), 후성(-5.27%), 테스(-0.93%) 등의 주가는 하락세를 면치 못했지만, 다른 종목들의 상승세에 비하면 기울기가 덜 가팔랐다.
한일 간 존재하던 무역 분쟁이 해소되면 일본 소부장 업체의 시장 잠식 우려로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소부장 종목의 주가에 일정 부분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 예상했던 금융투자업계의 전망과 현실이 다르게 전개된 것이다.
남대종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소부장 기업이 여전히 따라잡기 힘든 기술력과 제품 품질을 지닌 일본 소부장 기업의 제품이 국내 시장에 더 빠르게 유입될 가능성은 높다”면서도 “지난 4년간 소재·부품·장비 국산화를 위해 투입한 노력이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되는 만큼 과거처럼 일본 소부장 기업이 국내 시장을 장악하는 일은 사실상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작년 일본에서 수입한 반도체용 불화수소는 830만달러(약 108억원) 규모로 2018년보다 87.6% 줄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 의존도도 2018년 41.9%에서 지난해 7.7%로 크게 감소했다. 산업통산자원부가 집계한 통계치에 따르면 100대 소부장 핵심전략기술 중 반도체 분야 수입액의 일본 비중은 2018년 34.4%에서 2022년 24.9%로 9.5%포인트 줄었다.
증권가에선 장기적으로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사가 신규 라인을 증설할 때 소재 공급사로 일본 기업을 추가함으로써 국내 소부장 기업이 불가피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일본의 수출 규제 후 추진해 온 공급망 다변화의 차원에서 일본 기업의 소재·부품·장비가 도입될 수 있다는 의미다.
이에 대해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국내 주요 제조사들도 지정학적 리스크를 겪으며 소재 국산화의 필요성을 절감했다”며 “신규 설비를 증설하더라도 이전처럼 일본 기업 소재를 절대적으로 채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동윤 기자
realbighead@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