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왼쪽)가 1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포디움에서 열린 ‘2023년 상반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9일 “경기 상황과 관계없이 정부와 한국은행의 정책 공조는 매우 잘 되고 있고, 계속해서 잘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하반기 경제정책의 무게중심을 ‘물가 안정’에서 ‘경기 대응’으로 옮겨가면서 금리 인하 압박이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데 대해서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연말에 물가상승률 2% 목표대로 물가가 충분히 수렴한다는 증거가 있으면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겠지만, 지금은 (물가상승률이) 3%대로 가는 것도 확인해야 할 때”라며 “금리 인하를 논의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재차 강조했다.
김영희 디자이너 |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7월(6.3%) 정점을 찍은 이후 점차 둔화하는 추세다. 연초 5.2%에서 4개월 연속 하락해 지난 5월 3.3%까지 내려왔다. 한은은 6·7월에는 지난해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기저효과로 물가상승률이 2%대에 진입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창호 한은 조사국장은 “최근 석유류 가격 상승률이 5월에는 전년동기대비 18% 하락했고, 6월에는 (하락률이) 20% 중반 수준일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요인이 크게 작용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하반기에는 반대로 국제유가의 기저효과가 사라지며 3% 내외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한은은 전망했다. 최 국장은 “국제유가, 전기·가스요금 인상 등 국내외 비용 인상 압력이 추가로 커지게 되면, 이 비용의 2차 파급 효과가 예상보다 오래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근원물가(에너지·식료품 제외)가 더디게 떨어지면서 물가안정 목표(2%) 달성을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의미다.
김영희 디자이너 |
한은 분석에 따르면 지난 5월 근원물가 상승률은 3.9%지만 여기서 관리물가 영향을 제외했더니 4.4%로 올라갔다. 관리물가는 정부가 직·간접적으로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품목을 대상으로 만든 가격지수다.
정부가 물가 상승을 억누르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이 총재는 “물가가 빠르게 상승할 때는 어느 국가나 생필품이나 저소득층이 쓰는 물가를 관리한다”면서 “작년 물가 상승률이 높을 때 정부가 부득이하게 특정품목의 수급조정을 통해 관리했고 에너지나 전기요금을 해외보다 덜 올리긴 했지만 모든 나라의 공통현상이었다”고 말했다.
최근 추경호 경제부총리가 라면 업계에 가격 인하를 권고한 데 대해서도 “세계적으로 이번 물가 상승기에 기업 이윤율이 늘었는데, 기업들도 이제 원자재 값이 떨어졌으니 그에 맞춰서 고통을 분담해달라는 정치적 말씀으로 해석한다”고 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