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반도체 수요 구조 시사점' 보고서
"미·중 수요 의존도 줄여야"
/제공=한국은행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투데이 정금민 기자 = 우리나라 반도체 경기 변동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아 수요처 다변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9일 한국은행의 '우리나라 반도체 수요구조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액 중 스마트폰용과 서버용 수요의 비중은 각 44%, 20.6%인 것으로 추정됐다.
지역별로는 미국과 중국의 비중이 높은데, 스마트폰용의 경우 미·중이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서버용 반도체는 미국의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수요 구조를 고려할 때 향후 국내 반도체 경기는 중국의 스마트폰 소비, 미국 데이터센터 투자 회복 여부 등에 달려 있다고 한국은행 측은 평가했다.
중국의 스마트폰 소비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봉쇄 조치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이후 시차를 두고 회복하면서 점차 우리나라 반도체 경기 부진을 완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 서버 수요의 경우 주요 빅테크가 실적 악화 등을 이유로 데이터센터 투자 지출을 줄이면서 위축됐지만, 앞으로 디지털 전환 및 AI(인공지능) 서비스 확대 등과 함께 고성능 서버를 중심으로 완만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규환 한국은행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우리나라 반도체 경기의 변동성이 다른 나라보다 큰 만큼, 비메모리 경쟁력 강화나 수요처 다변화 등을 통해 진폭을 줄여나가야 한다"며 "국내 반도체 수요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심해지고 있어 관련 정책 대응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