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Pick] 20억 혈세 들인 거북선, 154만 원에 겨우 팔린 사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업비 20억 원을 들여 제작한 거제 거북선이 건조된 지 약 13년 만에 154만 원에 팔렸습니다.

제작 당시 미국산 소나무를 사용한 사실이 드러나 짝퉁 논란은 물론, 부실 제작 논란까지 일었던 이 거북선은 투입된 비용의 0.1%도 안 되는 금액으로 낙찰돼 '혈세 낭비'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17일) 경남 거제시에 따르면 거제시 재산인 '임진란 거북선 1호'가 8차례 입찰 끝에 154만 원에 최근 낙찰됐습니다.

이 거북선은 이번에 낙찰자가 나타나지 않았으면 폐기될 처지였습니다.

SBS

2011년 6월 17일 경남 거제시 지세포 조선해양문화회관 앞 해상에 도착한?거북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임진란 거북선 1호'는 2010년 경상남도 이순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당시 국·도비 포함 총 20억 원 사업비를 들여 2011년 건조돼 거제시에 전달됐고 당시 같이 제작됐던 판옥선은 통영시에 전달됐습니다.

당초 경남도는 제작 시 국내산 소나무인 금강송을 사용했다고 홍보했지만, 실제로는 임의로 수입 목재를 섞어 만든 사실이 드러나면서 '짝퉁'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이로 인해 손해배상 청구 등 책임공방으로 준공검사와 인수가 한참 미뤄졌고, 거북선 건조업체 대표는 2012년 사기 혐의로 1심에서 징역 4년형을 선고받았습니다.

또 애초 지세포항 앞바다에 정박해 놓고 승선 체험 등 관광 자원으로 활용할 계획이었지만, 흔들림이 심하고 물이 새는 등의 이유로 1년여 만에 육지로 올라와 조선해양문화관 앞마당에 전시됐습니다.

SBS

2011년 7월 통영 전통한선복원연구소 정영복 소장이 거북선 내부 노를 살펴보는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목재가 썩고 뒤틀리는 현상은 계속 발생했고, 지난해에는 태풍 힌남노로 인해 꼬리 부분이 파손돼 안전사고 우려가 나왔습니다.

결국 시는 거북선을 유지하는 데 3~4억 원이 들고 내구연한이 7~8년에 불과해 효용 가치가 떨어진다는 결론을 내리고 폐기하기로 했습니다.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 따라 폐기 전 매각 일반입찰 대상물이 된 거북선은 지난 2월부터 입찰됐으나, 이동이 쉽지 않은 데다 활용 방안도 마땅치 않아 7번이나 낙찰자를 찾지 못하는 수모를 겪었습니다.

결국 8수 끝에 20억 원짜리 거북선은 개인에게 최고가 154만 원에 낙찰됐습니다.

(사진= 연합뉴스)
신송희 에디터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