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유럽연합과 나토

EU, 러시아 돕는 중국 기업 제재 추진…중국은 즉각 반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러시아 돕는 제3국에 초점 맞춘 새 제재안 마련

한겨레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유럽연합 본부 앞에 유럽연합 깃발이 게양되어 있다. 브뤼셀/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이 러시아에 대한 제재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이 나라를 돕는 중국 기업들을 제재할 움직임에 나섰다. 중국은 보복성 조처를 취할 수 있음을 내비치는 등 즉각 반발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유럽연합의 제재를 우회하기 위해 러시아가 활용하는 제3국 문제에 집중한 새로운 제재 방안을 마련해 10일(현지시각) 회원국들과 논의할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8일 보도했다. 외교 정책에 정통한 소식통들은 러시아의 대외 무역에 도움을 주는 나라로 중국, 튀르키예(터키), 아랍에미리트와 중앙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주로 꼽혔다고 전했다. 유럽연합 집행위의 대변인도 중국 등 제3국 기업 제재를 담은 제안이 회원국들에게 전달됐음을 확인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러시아 뿐 아니라 러시아를 돕는 제3국과 기업을 제제하는 일종의 ‘세컨더리 보이콧’ 조처를 준비한다는 의미다. 그는 세부적인 제재 내용에 대해 밝히기를 거부했다.

유럽연합이 제재를 고려하고 있는 중국 기업들은 3에이치시(3HC)반도체, 킹파이기술 등 중국 본토에 있는 기업 2곳과 신노전자, 시그마기술, 아시아퍼시픽링크, 토르단산업, 알파트레이딩 등 홍콩에 기반을 둔 5곳이라고 영국 경제지 <파이낸셜 타임스>가 보도했다. 3에이치시는 러시아에 대한 수출 통제 대상인 미국산 부품들을 러시아 군수 업계 등에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킹파이기술은 러시아 순항미사일의 유도 시스템용 프로그램 개발에 쓰일 전자 기술을 제공한다는 의심을 사고 있다.

유럽연합은 러시아가 지난해 2월 말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모두 10차례에 걸쳐 러시아에 제재를 가했다. 지금까지는 러시아와의 직접 수출입이나 러시아 조직·개인을 겨냥한 것이었다. 이번 제재 대상에는 육로로 러시아에 공급되는 물품들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어린이 납치 의혹에 연루된 개인들도 포함됐다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앞서 지난 2월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은 독일의 수출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러시아 수출 금지 품목들이 중앙아시아를 통해 러시아에 공급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은행은 러시아에 대한 직접 수출은 급격하게 줄어든 반면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을 통한 우회 수출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 정부는 유럽연합의 움직임에 즉각 반발했다. 왕원빈 외교부 대변인은 8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러 협력을 중국에 대한 불법 제재나 ‘확대관할’(법률 적용 범위를 외국으로 확대하는 것)의 핑계거리로 이용하는 행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왕 대변인은 “유럽이 잘못된 길로 가지 말 것을 촉구한다”면서 중국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

▶16살에 장학금 132억 제안…“대학서 세상에 대한 이해 얻을 것”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