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7 (목)

[단독] 정부, UAM 시범사업 비수도권으로 확대… 2~3개 도시 선정해 통신 환경 실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1월 미국 세너제이에 위치한 UAM 기체 제작사 ‘조비 에비에이션’을 방문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국토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UAM(도심항공교통) 시범사업 범위를 기존 수도권에서 비수도권 지역으로 확대한다. 시범사업 확대에 따라 UAM 상용화가 수도권을 넘어 전국적으로 빠르게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SK텔레콤·KT·LG유플러스 이동통신 3사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은 UAM 사업이 한층 더 탄력을 받게 됐다.

5일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에 따르면 국토부는 UAM 지역시범사업 준비에 착수했다. 이달 중으로 관련 사전 타당성 검토 연구를 시작해 내년 1~2월까지 구체적인 사업 추진 방안을 마련한다. 사업 예산은 국토부와 함께 지역시범사업에 선정될 각 지자체와 이에 참여하는 컨소시엄 기업들이 분담하게 된다.

미래 교통수단으로 꼽히는 UAM은 전기로 구동하는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기반 항공 서비스다. 도심에서 활주로 없이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고 다양한 육상 교통수단과 연계할 수 있다.

조선비즈

지난해 11월 경기 김포시 고촌읍 아라마리나에서 열린 2022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비행시연 행사에서 UAM 비행이 시연되고 있다./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당초 내년 7월부터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시범사업을 준비 중이었다. 수도권 시범사업을 통해 오는 2025년까지 수도권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30∼50km)을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한강을 따라 김포~잠실 등을 연결하는 UAM 수도권 2단계 실증 노선도 이달 중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국토부는 UAM 활용범위 확대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비수도권 지역으로 시범사업 범위를 확장하려고 한다. 현재 일부 지자체가 개별적으로 추진하는 UAM 실증 사업들이 있지만, 예산 등의 문제로 추진 속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국토부 관계자는 “각 지역별로 헬기와 비행기를 띄워 전파와 통신 환경 등을 실측하는 사전 타당성 검토를 통해 지원할 도시를 선정하고 시범사업을 진행할 것”이라며 “예산을 감안해 우선 2~3개 도시를 선정하고 이르면 2026년, 늦어도 2027년부터 사업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UAM 비수도권 지역시범사업이 일차적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고, 가급적 여러 지역에서 교통서비스형·관광형·물류배송형·공공형 등 다양한 유형의 사업을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선비즈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이 5일 오후 부산 동구 부산항컨벤션센터에서 박람회가 개최될 경우 박람회장과 부산 주요 교통 거점을 연결할 도심항공교통(UAM)을 체험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UAM에서 네트워크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통신사의 역할은 중요하다. UAM 비행을 위해서는 지상과 함께, 상공의 통신망 고도화가 필수적이다. UAM의 원활하고 안전한 비행을 위해서는 상공 10km까지 통신이 이뤄져야 한다.

이에 통신 3사는 저마다 컨소시엄을 구성해 UAM 시장 선점에 나섰다.

SK텔레콤은 한화시스템·한국공항공사와 함께 ‘K-UAM 드림팀’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KT는 현대자동차와 컨소시엄을 꾸렸다. 현대차가 기체 운항을 맡고 KT가 교통관리 관제 시스템을 맡는다. LG유플러스는 카카오모빌리티와 ‘UAM퓨처팀’ 컨소시엄을 구성해 승객용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등을 개발하고 있다.

한편 국토부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에 따르면, 전 세계 UAM 시장 규모는 초기 상용화 시점인 2025년 109억달러(약 14조원), 2030년 615억달러(80조원)를 거쳐 2040년에는 6090억달러(약 800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UAM 시장은 2040년 13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경탁 기자(kt87@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