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용사 55명' 호명하며 울먹인 윤 대통령 "연평 · 대청…북 도발엔 대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가와 국민을 지켜내는 것이 자신들의 꿈이었던 영원한 바다 사나이 55분 영웅의 이름을 불러보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24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거행된 제8회 서해 수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이같이 운을 뗀 뒤 '서해 수호 용사 55명'의 이름을 일일이 불렀습니다.

이른바 '롤콜'(Roll Call·이름 부르기) 방식의 추모입니다.

현직 대통령이 기념식에서 55명 용사를 일일이 호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연단에 오른 윤 대통령은 "누군가를 잊지 못해 부르는 것은 영원히 기억하겠다는 다짐"이라고 운을 뗀 뒤 고(故) 윤영하 소령을 시작으로 한상국 상사, 조천형 상사, 황도현 중사, 서후원 중사 등 55명의 이름을 5분여간 차례로 불렀습니다.

제2연평해전, 천안함 피격사건, 연평도 포격전 등 전사자들의 이름이었습니다.

윤 대통령은 호명 시작 전 26초간 울먹거리며 말을 잇지 못하기도 했습니다.

손으로 코와 입을 가리며 한동안 고개를 숙였습니다.

호명 도중 유가족이 눈물을 훔치는 모습도 생중계 화면에 잡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서해를 지키는 임무와 사명을 완수한 용사들. 대한민국은 55분의 용사를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며 호명을 끝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후 기념사에서는 '북한의 도발'이란 표현을 총 6차례 썼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늘 우리는 북한의 무력 도발에 맞서 서해를 수호한 용사들의 헌신을 기억하기 위해 이 자리에 함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 해군과 해병대 장병들은 연평해전, 대청해전, 연평도 포격전 등 수많은 북한의 무력 도발로부터 북방한계선(NLL)과 우리의 영토를 피로써 지켜냈다"며 "북한의 무모한 도발은 반드시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2020년·2021년 서해 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용사들을 기리면서도 '북한의 도발'이란 표현을 명시적으로 쓰지 않았던 점과 대비되는 대목입니다.

문 전 대통령은 2021년 기념사에서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에 국민 여러분의 우려가 크신 것을 잘 알고 있다. 지금은 남북미 모두 대화를 이어나가기 위해 노력해야 할 때"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기념식 무대 우측에는 '천안함 46용사' 중 한 명인 고(故) 민평기 상사의 모친 윤청자 여사가 기증한 '3·26 기관총', 참수리 357호정과 천안함에 게양됐던 항해기와 부대기 및 함정 명패, 연평도 포격전 당시 북한의 방사포탄 파편을 맞은 중화기 중대 명판, 모형 함정 등이 전시됐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를 살펴보며 "북한의 무력 도발을 절대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고 대통령실이 보도자료를 통해 전했습니다.

55명의 유가족 대표와 참전 장병들의 좌석을 주요 인사석으로 배치하고, 윤 대통령의 헌화·분향 시에도 이들이 배석했다고 대통령실은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