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유럽연합과 나토

'중립국' 스위스 국민 55%, 개전 이래 나토와 긴밀한 관계 선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위스 국방 "중립성에 대해 더욱 비관적, 보다 협력할 준비 돼 있어"

뉴스1

스위스 왈렌스타디트 마을 인근 파스치가 군사 훈련장에서 레오파르트2 탱크를 타고 사격 훈련 중인 스위스 군인의 모습 2008.3.27 ⓒ 로이터=뉴스1 ⓒ News1 정윤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정윤미 기자 = 스위스 국민 과반이 지난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래 수백년간의 중립국 원칙을 뒤로하고 서방과 군사적 협력을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AFP통신에 따르면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ETH) 산하 육군사관학교와 보한연구센터가 지난 1월 3~20일 1238명 대상 전화로 실시한 연례 여론조사 결과, 지난달 1월 스위스 국민 55%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긴밀한 관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동월과 비교하면 10%포인트(P)나 증가했다. '스위스의 나토 가입'에 대해서도 3분의 1가량이 지지했다.

스위스 국방부는 "근소한 차의 인구 다수가 이 같은 의견을 가진 것은 처음"이라며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이래 스위스는 국가 미래와 세계에 대해 더욱 비관하게(pessimistic) 됐다. 그들은 또한 중립성에 대해 더욱 비판적으로 보고 있고 더 많은 협력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또 응답자의 53%는 '스위스의 중립 원칙'이 국가가 나토와 협력해 군사 방어를 계획하는 데 지장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차별화된 중립'(differentiated neutrality)에는 57%가 지지를 표했다. 이는 군사적으로 중립을 유지하되 정치적 차원에서 다른 입장을 취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6월 실시한 다른 조사에서는 스위스가 유럽연합(EU)의 대러 제재를 옹호한 것과 관련 제재와 중립이 양립할 수 있다는데 70%가 긍정한 바 있다.

다만 중립 원칙은 여전히 자국 내 높은 지지를 얻고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전년 1월보다 6%P 빠지긴 했지만 91%로 집계됐다.

인구 860만명의 스위스는 1815년 이래 줄곧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남성들에게 의무 징병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세계 14위 무기 수출국으로 무기 산업은 국내총생산(GDP)의 1%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한다.

나토와도 외교 정책과 안보 문제에 있어서 적절히 협력하고 있다. 다만 최근 몇 주간 우크라이나와 그 동맹국들로부터 자국산 무기의 우크라이나 재수출 승인을 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비판받고 있다. 스위스는 헌법상 '영세 중립국' 정체성을 고수하며 개전 이래 무기 수출을 금지하고 있다.

younm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