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5 (금)

이슈 공공요금 인상 파장

추경호 "외부충격 없다면 4%대 물가둔화"…유가·공공요금 불안 여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전기·가스·수도 소비자물가 추이.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물가 내렸지만 채소류 가격은 7.4% 상승 (서울=연합뉴스) 진연수 기자 =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전월보다 낮아지며 10개월 만에 4%대로 둔화했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38(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4.8% 올랐다. 물가 상승률이 4%대를 기록한 것은 작년 4월(4.8%) 이후 10개월 만이다. 품목별로 보면 석유류가 1.1%로 축산물이 2.0% 하락했고, 농산물이 1.3% 올랐고 이 중 채소류가 7.4% 상승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 2023.3.6 jin90@yna.co.kr (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2월 물가는 4%대로 둔화했지만…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2월 물가 상승률이 10개월 만에 4%대로 둔화했지만, 공공요금 인상 여파로 전기·가스·수도 가격은 역대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고, 가공식품도 오름폭을 키웠다. 사진은 6일 서울 한 건물의 전기계량기. 2023.3.6 pdj6635@yna.co.kr (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개월 만에 4%대로 꺾이면서 물가 안정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공공요금 인상 억제 노력 등으로 향후 물가 둔화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이 국제 유가 상승에 끼치는 영향, 에너지 공기업의 공공요금 인상 추이 등 변수는 여전히 가득한 상황이다.

■정부 "향후 물가 둔화 뚜렷"
6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소비자 물화 둔화 흐름이 재개되는 모습"이라며 "특별한 외부충격이 없다면 향후 물가는 둔화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2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4.8%를 기록하면서 지난해 4월(4.8%) 이후 10개월 만에 4%대에 진입했다.

추 부총리는 "석유류가 국제유가 안정으로 2021년 2월(-6.3%) 이후 처음으로전년대비 하락 전환(-1.1%)되는 등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지난 1월 한파 등으로 채소류 가격 등 다소 불안했던 농축수산물은 축산물 가격하락에 힘입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물가 둔화세가 가속화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방침을 밝혔다. 추 부총리는 "공공요금은 상반기 동결기조하에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해 국민부담이 최소화되도록 할 것"이라며 "주요 먹거리 가격안정을 위해 정부는 식품 원재료 관세인하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제유가·공공요금 불안 여전
그러나 물가 둔화 흐름이 뚜렷해질 것이란 낙관론과 달리 곳곳에서 불안 요인이 상존한다. 2월엔 석유류 물가 하락이 물가 상승폭 축소의 주요 요인이었던 만큼, 국제유가 등이 다시 상승한다면 물가가 다시 반등할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한다. 아직 안심하기에는 이른 상황이라는 것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지 않고 있는데다 중국의 경제활동도 점차 재개하면서 국제 유가나 국제 원자재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

이미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 등이 뒤늦게 반영되면서 공공요금 물가 상승은 눈에 띄게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전기·가스·수도 물가 상승률은 지난 2월 전년 동월 대비 28.4% 폭등해 통계가 작성된 2010년 1월 이후 역대 최대 폭으로 올랐다.

정부가 한국전력, 한국가스공사 등 공기업의 재정상태를 개선하려는 정책 기조를 보이면서 공공요금이 추가 인상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이달 외식 등 개인서비스 상승률이 소폭 둔화하는 등 지난해 하반기부터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는 모습"이라며 "반면 중국 경제활동 재개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움직임도 보이는 등 (향후 물가는) 여러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기재부 역시 "누적된 국제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식품·서비스 등 수요 품목의 가격 불안요인이 아직 남아있다"고 밝혔다.

누적된 국제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식품·서비스 등 수요 품목의 가격 불안 요인도 아직 남아있는 상황이다. 추 부총리는 "관련 업계는 생산성 향상 등 원가 절감을 통해 인상 요인을 최대한 흡수해달라"고 요청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