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일자리정보 게시판에 구인정보가 붙어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공급 증가 둔화로 향후 5년간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폭이 7만~12만명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박양수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장은 5일 한은 홈페이지 블로그에 ‘우리나라 취업자수 추세의 향방’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2020년 취업자수는 전년 대비 22만명 감소했으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 등으로 지난해 82만명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해 중반부터 취업자수 증가폭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올해 1월에는 전년동월대비 41만명1000명 증가하면서 2021년 3월(31만4000명) 이후 22개월 만에 증가폭이 가장 낮았다.
박 원장은 인구구성 변화,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포함) 변화 등을 고려하는 방식으로 향후 5년간의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규모를 추정했다.
추정 결과 향후 5년간(2023∼2027년) 취업자수 증가폭은 연평균 7만~12만명 수준으로 추산됐다. 경제활동참가율 등의 추세를 전망하는 과정에서 단기변동성이 컸던 코로나19 기간을 포함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정한 경우 7만명, 코로나19 기간을 제외한 데이터에 기반한 경우는 12만명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이 같은 추정결과로 볼 때 지난해 중반부터 둔화세를 보이고 있는 취업자수 증가폭은 머지않은 미래에 10만명 부근으로 수렴할 것으로 예상했다.
박 원장은 “전년동기대비 취업자수 증가폭이 조만간 10만명 수준으로 떨어진다 해도 일자리가 창출되지 않은 것보다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공급 증가 추세의 둔화에 기인할 가능성이 크다고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생산활동이 가능한 인구라는 측면에서 15세 이상 인구수가 중요한데, 우리나라는 저출산이 심화하며 15세 이상 인구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연령 도달로 생산가능인구수(15~64세)는 2018년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다.
취업자수 증가폭 축소는 잠재성장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잠재성장률은 노동공급과 자본 및 총요소생산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한은이 취업자수 추세 전망치를 성장회계방법에 적용한 결과 2023∼2027년중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은 2010년대 후반보다 낮아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중 잠재성장률을 0.2%포인트 정도 높이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대, 외국인력의 활용도 확대 등의 고용촉진책을 통해 취업자수를 베이스라인 규모보다 연평균 8민∼10만명 더 늘려야 한다고 박 원장은 강조했다.
윤희훈 기자(yhh22@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